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PET, PET/CT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관련요인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박훈희 | - |
| dc.date.accessioned | 2015-12-24T09:37:44Z | - |
| dc.date.available | 2015-12-24T09:37:44Z | - |
| dc.date.issued | 2010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90 | - |
| dc.description | 산업보건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핵의학 분야의 PET, PET/CT 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방사선 피폭 선량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방사선 피폭 선량의 차이가 어떤 요인에 의한 것인지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10년 4월 15일부터 1개월간 PET, PET/CT 방사선종사자 8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근무 특성, 지식, 인식 및 행태를 조사하고,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하여 연 평균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피폭 관련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파악하였다.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선량은 핵의학 관련 근무기간이 짧을수록 피폭선량이 높았고,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선량과 관련된 지식, 인식, 행태 요인은 이동 시 피폭 불안감, 주사 시 피폭 불안감, 주사 시 보호 장구 착용, 분배 시 자동분배기 사용 여부 순서로 피폭선량에 대한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선량에 관련된 요인으로 분배 시 자동분배기 사용 여부, 방사선 노출감소 노력, 환자 접촉 시 피폭 불안감, 이동 시 보호 장구 착용, 주사 시 보호 장구 착용 여부였고, 위의 순서로 피폭선량에 대한 영향력이 있었다. 결론: PET, PET/CT 방사선 종사자는 가급적 자동분배기를 사용하고, 방사선 노출을 감소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며, 환자 접촉 시 보다 방사선 피폭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업무한다면, 업무 상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방사선 피폭의 저감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PET, PET/CT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관련요인 | - |
| dc.title.alternative | Radiotechnologists and radiation exposure in PET and PET/CT scan | - |
| dc.type | Thesis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Hoon Hee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