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8 959

Cited 0 times in

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 주관적 수직감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영민-
dc.date.accessioned2015-12-24T09:36:32Z-
dc.date.available2015-12-24T09:36:3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43-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이석 기관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인 주관적 수직감 검사(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는 피 검사자의 주관적 수평감과 수직감을 기준으로 막대를 위치시킨 후 실제의 수직 또는 수평과 비교하는 방법이다. 주관적 수직감 검사는 임상에서 복잡한 장비 없이 쉽게 시행될 수 있으며 이석 기관의 이상을 간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한 주관적 수직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인의 연령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 치료 경과에 따른 변화를 평가하였다. 정상인 30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수직감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5세를 기준으로 15세 이하를 소아군으로 구분하고 16세 이상의 성인군을 연령에 따라 세가지 군으로 나누었는데 16세 이상과 30세 이하, 31세 이상과 60세 이하 그리고 60세 이상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환자군은 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 변환성 어지러움증으로 진단받은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DHI) 설문지를 조사하고 주관적 수직감 검사를 시행하였다. 치료 직후, 치료 후 2일째, 5일째 그리고 마지막으로 2주 후에 다시 내원하여 주관적 수직감 검사와 DHI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정상군에서 주관적 수직감 검사 결과는 16세 이상과 30세 이하의 연령군에서는 주관적 수직감이 2도 이내로 편위되어 있었으며 31세 이상과 60세 이하의 연령군에서는 주관적 수직감이 1도 이내로 편위되었다. 그러나 15세 이하의 소아군과 61세 이상의 성인군에서는 각각 9도, 6도 이내로 넓게 편위된 주관적 수직감을 관찰할 수 있었다. 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의 증상은 주로 신체적 영역의 문제였으며 이석 정복술 시행 후에 증상의 호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료 전에 편위되어 있던 주관적 수직감이 치료 후 2일째부터 변화를 보였고 신체적 영역의 증상 호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치료 이후에도 지속적인 불균형감을 호소하는 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군에서는 주관적 수직감의 호전을 관찰하지 못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도 더욱 편위되어 있는 주관적 수직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들 환자에서 관찰되는 지속되는 증상과 편위된 주관적 수직감은 이전의 이석 정복술만으로는 치료가 불충분하여 추가적인 이석 정복술 시행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따라서 향후에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의 성공여부 판단에 주관적 수직감 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which is a test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the otolithic organ, is performed by positioning a rod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orizontal and vertical senses of the examinee and comparing it with the actual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can easily be performed in the office without any complex equipment and this test is considered to indirectly evaluate abnormalities of the otolithic organs. In this study, efforts has been made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normal population by age using digitalized subjective visual vertical program available in our vestibular function laboratory, and on the basis of this data, the status change of the otolithic organs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s are evaluated using the subjective vertical sensations.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s were performed on 300 normal subject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age; young group of 15 years or less, group between 16 and 30 years old, group between 31 and 60 years old and group of over 60 years of age, and average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population group were calculated. 19 patients who visited the Dizziness Clinic in Yonsei Medical Center Eye/ENT from 2007 March to 2007 December and who were diagnosed as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were chosen for subjects of this study. Korean dizziness handicap inventory(DHI) was surveyed and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was performed on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was performed and DHI surveyed 2 days and 5 days after the treatment and finally 2 weeks after the treatment.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was performed on the normal group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jective vertical sense was deviated within 2 degrees for the age group of over 16 years and under 30 years and it was deviated within 1 degree for the age group of over 31 years and under 60 years. In th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s, changes in the subjective vertical sense was noted from 2 days after the treatment and they mostly complained of physical symptoms which were relieved after the treatment. However in the group of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s with continuous complaints of disequilibrium, there was no notable improvement in the subjective vertical senses which were found to be more deviated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s indirect evidence that the patient’s symptoms are related to the status change of the otolithic organ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후반고리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 주관적 수직감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dc.title.alternative(The) clinical usefullness of subjective visual vertical test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pati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56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Young Mi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영민-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