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카테터 제거에 관한 생존분석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이은주 | - |
| dc.date.accessioned | 2015-12-24T09:35:44Z | - |
| dc.date.available | 2015-12-24T09:35:44Z | - |
| dc.date.issued | 2008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6112 | - |
| dc.description |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본 연구는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카테터 생존여부 및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임상 소견, 혈액검사 소견에 따라 분석하여 효과적인 카테터 관리 및 치료가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2002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서울 A병원에 입원하여 복막투석 카테터 삽입수술을 하고 복막투석을 시행한 환자 3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임상 소견, 혈액검사 소견에 따른 카테터 생존여부를 보았다. 다음으로 카테터 생존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카테터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콕스의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 복막투석 환자의 카테터 생존율은 1년 생존율이 87%, 2년 생존율이 81%, 3년 생존율이 76%, 4년 생존율이 72%, 5년 생존율이 66%였고, 이는 국외의 성적과 유사했다. 그리고 카테터 생존여부와 카테터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혈청 알부민으로, 혈청 알부민이 3.0mg/dL 미만인 군이 3.5mg/dL 이상인 군에 비해 카테터를 제거할 오즈비는 15.02배(95% CI: 3.83-58.85), 위험비는 12.01배(95% CI: 3.44-41.88)였다. 이는 복막투석 카테터 생존에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영양과 염증 상태가 매우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파악된다. 한편 당뇨병, 복막염으로 인한 입원 경험은 카테터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대상 환자수를 늘리고 추적 기간이 보다 긴 추후 연구에서 재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위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복막투석 환자의 카테터 생존에는 혈청 알부민이 중요함을 확인하였고, 앞으로 영양이 불량한 환자들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영양 관리를 통해 혈청 알부민을 증가시켜 면역 능력의 약화 및 감염을 예방함으로서 카테터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본 연구에서는 복막투석 카테터 생존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 임상 소견, 혈액검사 소견에서만 알아보았으나, 환자의 사회·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접근도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복막투석 환자의 사회·환경적인 요인을 포함한 좀 더 체계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catheter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influencing the survival and survival time of the catheters in the patients with CAPD based on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and blood test results.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was performed to total 313 patients who had undergone peritoneal catheter insertion and peritoneal dialysis admitted in "A" hospital, Seoul, from January 1, 2002 to December 31, 2005, to investigate catheter survival according to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and blood test results. Next, logistic regression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effecting on catheter survival and catheter survival time, respectively.Study result has shown that catheter survival rates were 87% 81%, 76%, 72%, and 56% from the 1st year to 5th year, respectively, which were the similar result that had been previously reported in the foreign countries. Factor significantly influencing to catheter survival and survival time was found to be serum albumin level. Odds ratio of removing catheter in the group with albumin level less than 3.0mg/dL compared to the group with albumin level more than 3.5mg/dL was 15.02(95% CI: 3.83-58.85), and hazard ratio was 12.01(95% CI: 3.44-41.88), which suggested nutritional state and inflammatory condition might be much more important factors than any other factors. On the other hand, diabetes mellitus and previous admission history due to peritonitis were not found to significantly effect on catheter survival time. On this point, further study with longer follow up period and more patients is required for reevaluation.Based on the study result stated above, serum albumin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catheter survival. So, it is expected that catheter survival rat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serum albumin through more active nutritional support to the patients with malnutrition, thus preventing them weakening immunity and infection.The factors influencing catheter survival time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confined only to gener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clinical features and blood test results, but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 pati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refore, for the study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more systemic prospective approach including socio-environmental factors of patients is required.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카테터 제거에 관한 생존분석 | - |
| dc.title.alternative | Survival analysis on the removal of catheter in patients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 - |
| dc.type | Thesis |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2047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Eun Joo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