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46

Cited 0 times in

정관수축에 대한 자율신경성 약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광식-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8:31Z-
dc.date.available2015-12-24T09:28:31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836-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정관은 하복부신경으로부터 나오는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정관의 신경조직에 는 고농도의 norepinephrine이 함유되어 있다. 하복부신경자극에 대한 정관수축은 아드레 나린성 봉쇄약물과 reserpine 에 의해 억압되고 monoamine oxidase 억제제와 catechol-O- methyltransferase 억제제에 의하여 항진되는 것으로 보아 정관의 운동신경분포는 주로 교감신경성이며, norepinephrine이 정관운동의 흥분성반응을 매개하는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norepinephrine이 접합전 α^^2-수용체에 작용하여 norepinephrine 유리를 억제시킴으로 오히려 정관운동을 억제한다는 주장도 있다. 한편 정관에는 cholin e acetylase와 acetylcholinesterase가 함유되어있고, 신경자극에 대한 정관수축이 antic holinesterase와 코린성 봉쇄약물로 변동되는 것으로 보아, 아드레나린성 신경전달에 코 린성기전이 간접적으로 관여된다고 주장되고 있으나, 반면에 코린성신경과 아드레나린성 신경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도 주장되고 있다. 또한 정관의 운동신경전달물질이 norepi nephrine이나 acetylcholine이 아닌, 확인되지 않은 non-adrenergic 전달체라는 주장도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해명 정관절편을 이용하여 전기장 자극으로 유발되는 정관수축에 대한교감신경성 및 부교감신경성 약물의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이들 상호 간의 관련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기장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norepinephrine 및 acetylcholine은 척출 해명정관에 대하여 흥분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2. 척출 해명 정관절편에 30초 간격으로 0.5초 동안 연속적 (1 m sec 40cps)으로 전기 장 자극을 가하면 전압증가에 따라 수축고 증가를 나타내고 tetrodotoxin 5×10**-6 M투 여로 이 자극반응은 완전히 봉쇄 되었다. 3. 정관의 원위부는 norepinephrine 10**-6 M처치로 전기장 자극유발 수축이 억압되나 정관의 중간부 및 근위부에서는 오히려 항진되었다. 4. Norepinephrine 10**-5 M에 의해 억압되던 원위부위의 전기장 자극유발 정관수축 반 응은 yohimbine 10**-6 M 또는 phentolamine 10**-7 M을 전처치하므로 그 전기장 자극반 응이 오히려 항진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고농도의 phentolamine(10**-6 M) 전처치는 전기 장자극에 의한 수축을 더욱 심하게 억제시켰으며 이때 norepinephrine처치는 아무런 영향 을 주지 못하였다. 5. Isoproterenol 10**-6 M은전기장자극으로 인한 정관수축을 억압하며, 이 효과는 pro pranolol 10**-6 M 전처치로도 별 변동이 없었다. 6. Methacholine 또는 carbachol 10**-6 M처치 는 모두 전기장 자극유발 정관수축을 항 진시키며,이 효과는 atropine 10**-5 M에 의하여 봉쇄되나 hexamethonium처치는 아무 변 동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정관근에는 아드레나린성 및 코린성 수용체가 있음이 확실하고 , 코린성 수용체는 muscarine성이며 아드레나린성 수용체에는 α^^1 , 및 α^^2 -수용체 를 모두 인정할 수 있고 α^^1 은 수축항진을, α^^2 는 norepinephrine유리를 억제시킴 으로 수축감소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Autonomic Drugs on Motility of the Vas Deferens Gwang Sik Choi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W7n Joen Kim, M. D.) The vas deferens is innervated by fibers of sympathetic hypogastric nerve and contains high contents of norepinephrine. Contraction of vats deferens is elicited via α-adreneergic receptor by norepinephrine or stimulations of hypogastric nerve, and the response is blocked by adrenergic α-blocking agents or reserpinization. On the contrary, it is suggested that norepinephrine also causes activation of presynaptic α^^2-receptor and has inhibitory effect on the motility of vas deferent. Moreover, vas deferens contains choline acetylase and acetylcholinesterase, which might be interpreted as evidences for the involvement of cholinergic mechanism in adrenergic transmission as well as for the independent mechanism of cholinergic and adrenergic fibers. The possibility, however, might exist that neurotransmitter other than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might be involved in motor transmission of vas deferens. Present study, therefore,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tonomic drugs, combined with the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distal portion of vas deferent in guinea pig.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Both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evoked excitatory response on the motility of resting vas deferens in guinea pig. 2.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for 0.5 second (1m sec at a frequency of 40cps) at an interval of 30 seconds with increasing voltage induced contraction of vats deferent, which was completely blocked by tetrodotoxin and atropine. 3. Electric field stimulation-induced contraction of distal portion of vats deferens was inhibited by norepinephrine (10**-5 M), but the contraction of middle and proximal portion was rather augmented by norepinephrine. 4. Electric field stimulation-induced contraction of distal portion was potentiated by the pretreatment of yohirmbine (10**-6 M) or phentolamine (10**-7 M). However, at middle and proximal portion high concentration of phentolamine (10**-6 M) blocked the effect of norepinephrine. 5. Isoproterenol (10**-6 M) inhibited the contraction induced by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which was not affected by pretreatment of propranolol (10**-6 M). 6. Both methacholine (10**-6 M) and carbachol (10**-6 M) enhanced the electric field stimulation-induced contraction, which was blocked by atropine (10**-6 M), not by hexamethonium(10**-6 M).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ats deferens has both adrenergic α^^1 and α^^2 receptors as well as cholinergic muscarinic receptors. The adrenergic α^^1 receptor activation enhances contraction of the vats deferens while α^^2 receptor depresses by inhibiting norepinephrine releas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관수축에 대한 자율신경성 약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58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Gwang Si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