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529

Cited 0 times in

신경손상후 골격근 모세혈관의 분포에 대한 조직계측학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석원-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4:17Z-
dc.date.available2015-12-24T09:24:17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672-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횐쥐의 좌골신경에 충격손상을 준 후 8주 및 16주 후에 장딴지근 및 앞경골근에서 일어 나는 모세혈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세혈관의 변화는 종말 세동맥 그물의 형태정량적 분석 방법과 모세혈관 밀도의 조직 계측학적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형태정량적 분석은 근육의 주행방향에 평행하게 절 단한 표본을 투명화시켜 Strahler 순서체계에 의해 나뭇가지 모양의 분지를 이루는 종말 세동맥그물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모세혈관 밀도의 조직계측은 근섬유의 주행에 직각으로 절단한 표본을 이용하여 단위 근섬유 면적당 모세혈관 수, 모세혈관 수 대 근섬유의 비, 공유모세혈관의 수 및 하나의 근섬유를 둘러싸는 모세혈관의 수를 사진을 찍어 영상분석 기 등을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 골격근 모세혈관의 밀도 분포는 대조군에서 근육마다, 한 근육에서는 부위마다 차이를나타내었다. 장딴지근 백색부분의 모세혈관 밀도는 낮고, 적색부분의 밀도는 높으 며, 앞경골근에서는 장딴지근 적색부분과 비슷하였다. 2. 정상 근섬유의 조직화학적 유형과 모세혈관 밀도의 관계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었 다. A형 근섬유보다는 B형 근섬유, B형 근섬유보다는 C형 근섬유에서 밀도가 더 높았다. 3. 신경손상 후 신경재분포가 일어난 근육에서 소동맥 그물의 형태정량 분석 결과 모세 혈관의 분지와 배열양상에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Strahler 순서 5차 가지의 수를 정상군 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전부 감소되었다. 4. 신경손상 후 단위면적당 모세혈관 수는 장딴지근 백색부분 및 적색부분에서는 감소 하였으며, 앞경골근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5. 신경손상 후 모세혈관 수 대 근섬유의 비는 관찰된 모든 근육의 부위에서 통계학적 으로 의의있는 변화가 없었다. 6. 신경손상 후 공유모세혈관 수는 장딴지근 백색부분, 적색부분 및 앞경골근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7. 신경손상 후 한 개의 근섬유를 둘러싸는 모세혈관 수는 신경재분포가 일어난 후 장 딴지근 백색부분과 앞경골근에서는 증가하고, 장딴지근 적색부분에서는 감소하였다. 조직 화학적 유형에 따른 변화는 장딴지근 백색부분과 앞경골근에서는 A형 근섬유를 둘러싸는 모세혈관수는 중가하였으며, B,C형 근섬유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장딴지근 적색부분에서 B형 근섬유를 둘러싸는 모세혈관수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경재분포 후 근육에 분포하는 모세혈관에는 변화가 나타 나는데, 근섬유를 둘러싸는 모세혈관 수는 백색근 A형예서는 증가하고, 적색근 B형에서는 감소하며, C형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Morphometrical Study of Capillary Density in the Skeletal Muscles of the Rat Following Nerve Injury and Reinnervation Baek Suck Won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ef. Byeong Mun Park, M.D. & Prof. In Hyuk Chung, M.D.) To clarify the changes of capillary density and distributing pattern of capillary in reinnervated white and red muscles, a morphometrical study of the skeletal muscle capillaries was done. Sciatic nerves of rats were experimentally injured and morphometrcial studies of skeletal muscle capillary were performed on gastrocnemius muscle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Strahler method of centripedal ordering scheme was applied to longitudinally sectioned and cleared muscle specimen. Using transverse sectioned muscle specimen, capillary density and capillary/fiber ratio were assessed by image analyzer. Sharing factor and capillaries surrounding individual muscle fibers were obtained man tall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ows; 1. The capillary density of the red portion of gastrocnemius muscl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white portion. The capillary density of tibialis anterior muscle was similar to that of red portion of gatrocnemius muscle. 2. The capillary density of the type C fiber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type A fiber and type B was in between type C and type A. 3. After reinneuation, changes in distributing pattern of muscle capitol aries were observed and the number of branches of 5th order branch of Strahler method was decreased. 4. After reinnervation, capillary density (capillary/mm**2) in gastrocnemius muscle was decreased. 5. After reinnervation, capillary/fiber ratio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all muscles studied. 6. After reinnervation, sharing factor was increased in all muscles studied. 7. After reinnervation, capillaries surrounding individual fiber were increased in type A fiber of white portion of gastrocnemius and tibials anterior muscle, decreased in type B fiber of red portion of gastrocnemius muscle. In conclusion, capillaries surroung individual fiber were increased in type A fiber of white muscles, decreased in type B fiber of red muscles after reinnerv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신경손상후 골격근 모세혈관의 분포에 대한 조직계측학적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39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Suck W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