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1417

Cited 0 times in

부비동 경술에 의한 상악동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홍식-
dc.date.accessioned2015-12-24T09:20:21Z-
dc.date.available2015-12-24T09:20:21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51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상악동 질환의 진단에 내시경이 사용된 것은 1903년 Hirschmann이 최초이나 그후 약 반 세기 동안에는 광원과 렌즈의 미개발로 인하여 이 방면에 대한 특별한 연구가 없었다. 최 근 20년 동안에 유리섬유를 이용한 냉광과 특수 렌즈의 개발에 따라 내시경을 이용한 상 악동 질환의 진단법도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이 방면에 대한 외국의 많은 연 구 업적에 비해 국내에서는 시설 미비 등으로 인하여 충분한 연구가 없었다. 저자는 임상적으로 아급성 상악동염, 만성 상악동염 및 알레르기성 상학동염이 의심되 는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국소마취하에 하비도 천자에 의한 진단목적의 부비동경술과 방 사선검사 및 상악동 분비액검사 등을 시행하여 삼악동염에 대한 부비동경술의 진단적 가 치를 알아보았다. 한쳔 치료면에 있어서도, 증상과 방사선 소견만으로 수술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수술 을 하게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소위 근치수술적 요법에 의한 치료에서도 대공의 폐쇄 에 의한 재발이나 상악동 내의 섬유조직의 증식 또는 술후성 상악낭포 등과 같은수술후 문제의 빈발로 인하여 만족할만한 수술결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따라서 가능한한 해부하적 구조를 최대한으로 보존하며 수술후에도 상악동의 함기화와 정상 점막의 피복에 의한 생리적인 치료법이 요구되게 되었다. 저자는 부비동경을 이용하여 병변의 변화를 관찰하며 가급적 보존적인 방법으로 내시경 하 치료법을 시도하였다. 이상과 같은 목적으로 시행한 진단목적의 부비동경술과 치료목적의 부비동경술에서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82예의 상악동을 대상으로 시행한 진단목적의 부비동경술에서 성공적으로 시행된 것은 161예(88.5%)였으며, 불완전한 부비동경술은 14예(7.7%), 실패한 것은 7예(3.8%)였 다. 2. 아급성 상악동염 군과 만성 상악동염 군 간의 상악동 점막상태를 방사선검사와 내시 경검사로 동시에 조사하여 그 결과를 X**2 test에 의한 관련성 검정을 해 보았더니, 방사 선검사에 의한 경우는 P>0.05로 양 군의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나, 내시경검사 에 의한 경우에는 P<0.001로 양 군의 의의있는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상악동 내의 점막상태를 관찰할 경우에 내시경에 의한 것이 방사선검사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통상 부비동 방사선검사에 의한 상악동 분비액의 진단 부정확도는 78.9%였으며, Dec ubitue Water' View를 추가하여 이를 20%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 4. 상악동 분비액의 세균 배양검사 결과, 배양음성률은 75.7%였으며 배양균주 중에는 S treptococcus가 가장 많았다. 5. 내시경 관찰 하에 비수술적으로 치료를 시도한 16명 중에서 치료가 가능한 예는 8명 (50%)이었다. Dianostic and Therapeutic Significance of Sinoscopy in Maxillary Sinusitis Hong shik Choi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 Young Myoung Kim,M.D.) Sinoscopy as an endoscopic investigation method of the maxillary sinus offers the advantage of a direct local interpretation in contrast to the usual indirect methods. The biginnings of sinoscopy go back to Hirschmann (1903) and Spielberg (1922). During the last 20 years, the methods have been reintroduced and the technique has been refined. In spite of large numbers of articles about sinoscopy in Europe, there is no article about sinoscopy from Korea. In the present study, 182 maxillary sinuses were examined by sinoscopy and PNS X-ray for diagnostic reasons. Our failure rate in sinoscopy was 3.8% and the rate of incomplete sinoscopy was 7.7%. In the evaluation of maxillary antral mucosa, sinoscopy was superior to X-ray. Incorrect evaluation of discharge in the maxillary sinus by 3 standard projections was 78.9%. But as the decubitus Waters' view was added, the incorrect evaluation by X-ray became 20% in the demonstration of discharge in the maxillary sinus. There was usually a 5.8 day time interval between sinoscopy and X-ray examination because of scheduling problems. In the bacteriological study of antral secretions, the percentage of no growth specimens was 75.7%. In all about ten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secretions. Among them, streptococcus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Therapeutic sinoscopy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who suffered from subacute or chronic maxillary sinusitis. Local treatment during sinoscopy also improved the mucosal appearance in 8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부비동 경술에 의한 상악동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17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ong Shi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