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367

Cited 0 times in

서울시내 중학교 졸업생들의 보건지식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혜경-
dc.date.accessioned2015-12-24T09:15:29Z-
dc.date.available2015-12-24T09:15:2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326-
dc.description보건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보건사업에 있어서 학교보건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겨 있다. 특히 초·증·고등 하교 학생들은 미래 사회의 주인공이고 이 시기에 획득한 건강은 평생을 통한 체질 및 체 력의 발판이 되기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 해서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성장이 활발한 학교 생활중에 이루어 지는 보건교육이 가장 효 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학교 보건교육은 보건에 관련된 지 식들이 여러 관련교과에 포함되어 가르쳐 오고 있어서 학생의 자기건강관리 능력을 개발 하기 위한 내실있는 보건교윽이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에 따른 보건관련 교과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그 교육과정에 따라 의무교육을 받은 중학교 졸업생들의 보건지식 정도를 측정하여 보건 교 육과정의 부족한 영역을 보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재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교과서 내용분석은 중학교 교육과정중 보건관련 교과인 채육(5종), 가정(1종), 과학(5 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연구자가 선정한 10개의 영역으로 분석하였고 보건지식 측정은 서 울 시내에 소재한 3개 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1 993년 4월 28일부터 5월 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내용분석 개인 건강은 1학년 체육에서 다루고 있었고, 성장 발달과 건강은 1학년 체육, 그리고 2 학년 가정과 생물에서, 영양과 건강은 1학년 체육과 1, 3학년 가정에서, 질병예방은 3학 년 체육에서 다루고 있었다. 약물사용과 건강은 2학년 체육에서, 정신건강은 3학년 체육 과 2학년 가정에서, 성과 건강은 2학년 가정에서, 안전생활과 건강은 1학년 체육에서, 지 역사회 건강은 2, 3학년 체육과 3학년 과학에서, 가족생활과 건강은 1, 2학년 가정에서 다루고 있었다. 2. 보건지식과 관련된 특성 학생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는 62.5%의 학생들이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중학교때 보건에 대해서 가장 많이 배운 교과는 남학생은 체육과 생물인데 반하여 여학생은 체육, 가정순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6.14, P<.01). 보건지식의 충분여부는 충분하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의 2.6%만 이었고 성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는데 충분하다가 남학생에서는 5.3%, 여학생에서는 없었다(X**2=9.68, P<.01). 보건지식을 가장 많이 얻은 방법은 학교에서 배운 교과를 통해서 41.7%, 매스컴이나 잡 지 33.2%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남학생은 매스컴이나 잡지 33.2%, 여학 생은 교과를 통해서 51.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X**2=12.80, P<.0 5). 보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로 58.8%가 응답하였고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에서는 62.1%가 여학생에서는 55.7%가 필요하다고 하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X**2=9.30, P<.05). 3. 보편지식 정도 보건지식 정도는 50점 만점에 최고점은 36점, 최저점은 20점으로 평균은 27.09±2.96점 으로 대상자들의 보건지식 정도는 낮았다. 성별간의 관계는 남학생 26.42점, 여학생 27.7 3점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서 높았다 (t=-3.67, P<.01). 50%미만의 정답률을 보인 문항은 전체 50문항 중에서 26개 문항으로 각 영역별로 살펴 보면 성장 발달과 건강, 정신건강, 안전생활과 건강영역에서 각 4문항, 지역사회 건강영 역에서 각 3문항, 개인건강, 영양과 건강, 약물사용과 건강, 성과 건강, 가족생활과 건강 영역에서 각 2문항, 질병예방 영역에서 1문항으로 나타났다. 각 문항을 영역별로 하여 영역별 평균점수를 환산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영 역은 약물 사용과 건강(3.35)이었고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낸 영역은 안전생활과 건강(1. 80)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남·녀에 따라서 교육내용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를 고려한 교육과정이 설정되어야 하겠고 보건교육 내용이 각 교과에 분산되어 체계가 없고 학년간 에 연계성이 없으므로 단독교과로 독립되어 사회변화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보건교 육 내용을 다루어야 하겠다. A STUDY ON THE HEALTH KNOWLEDGE OF MIDDLE SCHOOL GRADUATES IN SEOUL. Hye Kyung Shin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and Magagement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yung-Ja Lee, R.N., Ph.D.) We know the importance of school health to health in general bu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the masters of the future. Health acquired in this period is based on constitution and physical strength, and therefore, these are very important. Health education in school is very effective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and development and so achievment of the health during school life when the students have sharp sensibilities and active growth is an essential. So far student have been given health education which is associated only with knowledge. A more worthy model of health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executed, is one in which the student's self-care ability is improved. This study consisted of an analysis of content associated with health found in the textbooks followed in the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and an evaluation of the health knowledg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supply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d to supplement for areas in the curriculum that are deficient for health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gymnastics(5), home economics(1) and science(5) textbooks related to health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ere divided into 10 areas and analyzed. They were selected by the researcher.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students' knowledg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300 first grade students, bath male and female in three high school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8 to May 1, 1993.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Analysis of health related content in the curriculum Personnal health is covered in first grade gymnastics, health related to growth and development also in first grade gymnastics and second grade home economics and science. Nutrition and health are covered in first grade gymnastics and first and third grade home economics, prevention of disease in third grade gymnastics. Drugs and health in second grade gymnastics, mental health in third grade gymnastics and second grade home economics, sex and health in second grade home economics, accident prevention and health in first grade gymnastics and third grade science, and family life and health in first and second grade home economics. 2. Health knowledge and related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health interest was 62.5%. Male students are taught health in gymnastics and science whereas female students are taught health in gymnastics and home economics. Thes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ce by sex (X2=6.14, P<.01).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ealth knowledge was only 2.6% (Male students: 5.3%, Female students: 0.0%, X2=9.68, P<.01). The most frequent method for the students to get health knowledge was the textbook taught in school(41.7%) and the next was mass-media or magazines(33.2%). The degree that the students thought health education was necessary was 58.8%. Male students responded 62.1%, female students, 55.7% (X2=9.30, P<.05). 3. Degree of health knowledge The degree of health knowledge was only 27.09±2.96. The range was from 20 to 36 of a possible total of 50. Therefore, the degree of health knowledge is estimated to be low. Comparing the degree of health interest between male students(26.42) and female students(27.73), that of the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Items that were scored less than 50% totaled 26. That is, four in each of growth-development and health, mental health, and accident prevention and health, three in community health, two in each of personal health, nutrition and health, drug and health, sex and health, and family life and health, one in prevention of disease. The results showed a mean score in each area ranging from 3.35(drugs and health) to 1.8(accident prevention and health).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ar concern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of the student.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were found to be scattered, not organized and not related to grades. This research suggests a need for health education to be covered in an independent textbook and the contents of health education to correspond to the social changes and the demands of the stud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서울시내 중학교 졸업생들의 보건지식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Health Knowledge of Middle School Graduates in Seou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6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Hye K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