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요부 경막외마취의 임상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순호-
dc.date.accessioned2015-12-24T09:13:24Z-
dc.date.available2015-12-24T09:13:24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524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영문] [한글] 1885년 corning이 개의 척수극돌기 사이에 cocaine을 주입하여 우발적인 경막외마취를 경험한 이래 1901년 Sicard와 Cathelin이 각각 천미골열공을 통해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였 고, 그후 좀더 상부의 수준에서 경막외마취를 시도한 바 1921년 Pages 및 1927년 Doglio tti에 의해 요부 경막외마취가 임상적으로 수술에 이용되었다. 그후 1947년 Tuohy가 개발한 경막외침 및 경막외 catheter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경막외 마취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1948년 Gorth에 의해 lidocaine을 처음 사용함으로서 종래의 수술후 통증치료의 법주에서 벗어나 임상마취에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척수마취가 수술할 부위 이하는 모두 마취되는데 비해 경막외마취는 분절마취가 가능하며 또한 저혈압등의 발생빈도가 낮고, 경막의 catheter를 이용해 수술시간의 연장 및 수술후 통증치료가 용이하며 지주막을 천공하지 않으므로 척수마취후 흔히 일어나는 두통도 없는 장점이 있으나 이 역시 교감신경계의 차단으로 저혈압이 있을 수 있고, 실수 로 경막이 천공되어 지주막하강내로 대량의 국소마취제가 주입되어 전척수마취에 이를 수 있으며 경막외강내의 혈관으로 국소마취제가 흡수되어 전신마취보다 성공률이 낮다는 단 점이 있다. 저자는 세브란스 병원에서 1978년 1월부터 1928년 12월까지 시행된 5년간의 마취례 41.044례 중에서 요부 경막외마취를 시행한 1,168례(2.8%)에서 환자의 병상일지 및 마취기록지를 검토하여 분석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관찰하였다. 1. 연도별 환자수는 1981년까지 저차 증가하다가 1982년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성별분 포는 남성이 709례(60.7%)로서 여성의 459례(39.3%)보다 많았다. 연령별분포는 60대, 20 대, 50대, 30대의 순이었다. 미국 마취과학회 분류법에 의한 환자상태는 대첵로 class 1! 2에 속하였으며 선택수술대 응급수술의 비율은 5.3:1 이었다. 2. 과별분포는 비뇨기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일반외과의 순이었으며 수술부위별로는 하복부, 회음부, 하지의 순이었다. 3. 마취시간별분포는 1~2시간이 제일 많았고 2~3시간, 1시간미만의 순이었다. 4. 천주부위별로는 제3~4 요추간, 제2~3 요추간의 순이었으며 제7~8 흉추간부터 제5요 추 및 제1천추간으로 다양하였다. 대부분의 경우 1회만에 천자가 성공하였고 catheter의 방향은 주로 상방으로 삽입하였으며 catheter를 넣고 않은 경우도 80례(6.8%)있었다. 5. 국소마취제로는 1.5 및 2% lidocaine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bupivacaine도 종종 사용되었다. 국소마취제의 용량은 lidocaine 15~20ml를 주로 사용했으며 1.5 및 2% lido caine를 혼합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6. 수술후 통증치료를 위해 morphine sulfate를 투여하거나 마취시간의 연장을 위해 ep inephrine을 소량 사용한 경우가 각각 320례(27.4%) 및 57례(4.9%)였다. 7. 마취부위는 제6흉추분절까지 마취된 예가 제일 많았으나 요구되는 마취부위보다 높 게 마취된 경우도 많았다. 8. 합병증으로는 저혈압이 246례(21.1%)에서 발생하였으며 지주막천공의 경우도 20례(1 .7%)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경막외마취는 나이, 환자상태, 수술부위등을 고려하여 수술 부위보다 너무 높지 않게 마취부위를 조절하며 주 합병증인 저혈압을 줄일 수 있는 안전 한 마취방법이라고 사료된다. A Clinical Evaluation of Epidural Anesthesia - An analysis of 1,168 cases - Soon Ho Nam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 Jong Re Kim, M.D.) After an accidental experience of epidural anesthesia by Corning in 1885, the development of the Tuohy needle, the discovery of a better local anesthetic, epidural anesthesia came into common usage in clinical anesthesia. Epidural anesthesia is more modern as a regional anesthesia than spinal anesthesia because of the low incidence of hypotension, controllability of the duration of anesthesia time, and the absence of postspinal headache. A total of 1,168 epidural anesthesia cases encountered in Severance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78 to December 31, 1982 were subjected to this clinical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percentage of epidural anesthesia comprised 2.8% of total anesthesia cases. 2) The most common age groups 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were those in the seventh decade, third decade, and sixth decade. 3) The most common ASA physical status listed in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were those in the class II, Class I, Class III. 4) The common agents of local anesthetics used were 1.5 or 2% lidocaine and sometiones bupivacaine. Additive agents such as morphine sulfat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epinephrine for prolongation of anesthesia time were used commonly. 5) The most common site of anesthesia was the sixth thoracic vertebral sensory segmental level, but a higher site for sensory anesthesia than required for the operation performed was frequently encountered. 6)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of epidural anesthesia were hypotension(21.1%) with infrequently dural puncture, traumatic tapping, bradycardia, convulsion, and catherer sequestration. In conclusion, epidural anesthesia is considered to be a safe regional anesthesia that will reduce the incidence of hypotention provided that careful control of the sensory level to be anesthetized is taken under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age, physical status, and operation site of the patie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요부 경막외마취의 임상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Evaluation of Epidural Anesthesia : An analysis of 1,168 ca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256-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608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m, Soon Ho-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남순호-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