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98

Cited 0 times in

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질량지수와 당화혈색소의 관련성 : severance type 1 diabetes mellitus retrospective cohort (S1DMRC) 구축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미향-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1:48Z-
dc.date.available2015-12-24T09:01:4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795-
dc.description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 환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인구수와 발생률을 가진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의 임상 자료 분석을 위하여 후향적 코호트를 구성하여 제 1형 당뇨병 환자들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와 당화혈색소(HemoglobinA1c, HbA1c)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9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제 1형 당뇨병 환자 150명이다. 동 기관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통해 자료를 제공받았으며, 다음의 세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BMI<21kg/㎡인 그룹(GroupⅠ)은 49명(32.7%)이며, 21kg/㎡≤BMI<23kg/㎡인 그룹(GroupⅡ)은 47명(31.3%), BMI≥23kg/㎡(GroupⅢ)는 54명(36.0%)으로 구성하였다. 체질량지수와 당화혈색소 값이 상관성이 있는지 Pearson’s correlation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체질량지수와 당화혈색소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세 그룹에서 모두에서 글루코알부민과 당화혈색소의 비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체중이 낮은 환자들에서 낮은 혈당과 높은 혈당간의 혈당 폭이 큰 진폭(glycemic variability)이 보인다고 사료된다. 세 그룹으로 나눈 체질량지수에 따른 당화혈색소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지만, 그룹 Ⅰ(BMI<21kg/㎡)과 같이 저체중 환자에서 체질량지수와 당화혈색소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또한 인슐린 저항성 요소를 포함한 그룹 Ⅲ (BMI≥23kg/㎡)의 과체중 및 비만한 환자에서도 당화혈색소와 체질량지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정확한 근육량을 측정할 수 있는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체성분 측정 검사 등의 추가 결과 등을 확보 및 지속적인 연구 진행으로 인과성의 확립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제 1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체계적인 혈당관리를 위한 치료지침, 교육 자료 등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 제 1형 당뇨병 환자에서 체질량지수와 당화혈색소의 관련성 : severance type 1 diabetes mellitus retrospective cohort (S1DMRC) 구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MI and HbA1c in the type 1 diabetes mellitus of Koreans : severance type 1 diabetes mell-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on, Mi Hya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