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9 964

Cited 0 times in

미세먼지 PM10 증가에 따른 사망률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애란-
dc.date.accessioned2015-12-24T09:00:39Z-
dc.date.available2015-12-24T09:00:3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752-
dc.description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대기 오염이 호흡기계와 심혈관계 질환 등의 여러 질병과 사망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중 미세먼지 PM10(직경 10um 미만의 대기 중 먼지)과 사망률 증가와의 관련성은 일관되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건강 영향을 도시별, 국가별로 연구하는 것도 의미가 있지만 대륙별 또는 전 세계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도 일관되게 사망률을 증가시키는지, 그 사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그 폭로 대상이 광범위한 대기 오염의 보건학적 의미를 고려하였을 때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에서는 대기 중 미세먼지 PM10이 증가하였을 때 전체 사망률과 심혈관계 사망률, 호흡기계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들을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 분석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도 일관되게 사망률을 증가시키는지 알아보고 PM10 농도와 범위, 공존하는 오염물질의 통제 여부 등이 이러한 사망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PM10이 10 ug/m3 증가하였을 때 전체 사망률은 0.48%(95 CI: 0.39, 0.57) 증가하였고, 심혈관계와 호흡기계도 각각 0.57%(95% CI: 0.44, 0.70)와 0.85%(95% CI: 0.62, 1.08) 사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때 대륙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아시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일관되게 전체 사망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사망 증가율은 PM10의 농도가 높거나 표준편차가 큰 지역일수록 감소하였고, 인구나 공존하는 가스 오염물질의 통제 여부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오존을 통제한 연구는 통제하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하게 전체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앞으로도 PM10의 건강 영향과 이에 관여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역학 연구가 뒷받침 되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환경 정책들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미세먼지 PM10 증가에 따른 사망률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dc.title.alternativeEffect of PM10 on mortality :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Ae R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