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914

Cited 0 times in

한국암등록사업에서 협력병기 자료 수집의 적절성 및 요약병기 일치도 관련 요인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7:01Z-
dc.date.available2015-12-24T08:57:0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611-
dc.description건강증진교육전공/석사-
dc.description.abstract목적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암등록사업에서 협력병기 자료 수집의 타당성과 자료의 완전성을 알아보고 요약병기 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한국중앙암등록본부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ing, CS) 조사사업에 이용된 위암, 대장암, 유방암 6,90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협력병기 자료에서 불명확한 자료의 분포를 파악하고, 원 자료와 협력병기를 이용하여 변환된 SEER 요약병기와 임상병기(TNM 병기)에서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협력병기 자료에서 환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의료기관 특성과 병기 불일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여러 요인을 포함하는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협력병기 자료에서 병기 산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의 수집은 불명확한 자료의 분율이 적었다. 유전자 관련 요인 등의 예후와 관련된 부위특이요인들은 불명확한 자료의 분율이 비교적 높았으나, 전체적으로 협력병기의 자료 수집은 가능하였다. 암등록자료 요약병기와 협력병기에서 변환된 요약병기의 일치율은 유방암, 위암, 대장암 순으로 높았으며 ‘불명확’을 제외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84% 이상으로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불명확’을 제외한 TNM 병기에서의 병기 일치율은 위암, 대장암, 유방암 순이었으며 전체적으로 87% 이상의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병기 불일치 관련요인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요약병기가 ‘불명확’일 때 불일치 확률이 26.9배(95% CI, 20.4-35.5)로 매우 높았다. ‘불명확’을 제외하고 분석하였을 때 불일치 관련요인으로 환자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비현미경적 방법으로 진단되었을 때, 의료기관 등급이 종합병원일 때 불일치율이 높았으나 대장암과 유방암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의무기록을 수행하는 인력 요인에서는 암종별 담당자가 있는 경우에 비해, 혼자서 담당한 경우 병기 불일치할 확률이 3.1배(95% CI, 2.1-4.7) 높았고, 암종 구분 없이 여러 명이 나누어 하는 경우에는 4배(OR=3.99, 95% CI, 2.7-6.0) 높았다. 결론 : 협력병기 자료는 SEER 요약병기 및 AJCC TNM 병기를 산출할 수 있는 완전성과 신뢰도가 높은 자료로서 수집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협력병기의 충실한 자료 확보를 위한 질 관리 연구 및 암등록 실무자들에 대한 사례 중심의 전문적인 교육이 수행된다면, 전국을 대표할 수 있는 병기자료로서 협력병기 자료가 암의 병기연구에 활용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암등록사업에서 협력병기 자료 수집의 적절성 및 요약병기 일치도 관련 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The feasibility of collaborative stag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summary stage agreement in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data-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3934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e J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