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0 533

Cited 0 times in

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환자 및 전자의무기록 사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정보보호 환자를 대상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진희-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3:54Z-
dc.date.available2015-12-24T08:53:5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484-
dc.description병원경영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기존의 종이의무기록과는 다르게 전자의무기록은 환자 정보를 쉽게 열람하고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관리 기준이 보다 엄격하지 않으면 환자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보보호 방안이 강구되고 있지만,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환자의 특성이나 이를 열람하는 사용자인 의료 종사자의 특성은 정확히 반영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환자 정보보호 정책 현황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을 열람하기 위해 사용자가 접근한 로그를 대상으로 기록의 차단여부에 관한 현황과 차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및 사용자의 특성을 살펴보고 환자 정보보호를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2011년 7월 1일부터 2012년 6월 30일까지 일 년 동안 정보보호 환자에 대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접근한 로그 7,539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이 된 접근로그 7,539건 중 차단건수는 470건으로 전체 접근건수의 6.2%이다. 차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특성의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차단될 확률이 높고, 29세 이하보다 45-59세 집단이 차단될 확률이 높았다. 환자의 진료과가 정신건강의학과인 경우, 직원가족일 경우, 연구목적 열람대상인 경우가 차단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민감한 진료과로 진료를 봤거나 환자 대상이 일반적이지 않을수록 차단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자의 특성으로는 보건/약무직, 전공의, 간호직, 전문의 순으로 차단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1회 차단된 경우 재접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 접근 로그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전자의무기록 차단여부와 환자 및 사용자의 특성에 대한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전 연구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최근 개인정보보호법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의 보호 및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환자의 개인정보 및 진료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의 접근권한에 대한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 및 사용자의 지속적인 권한교육이 필요하며, 명확한 상관관계를 알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의료정보 보호와 관련된 환자 및 전자의무기록 사용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정보보호 환자를 대상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atient and provider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tection of patient informatio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Jin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