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88

Cited 0 times in

종합 병원 간호사의 감정 부조화와 사회적지지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3차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표나리-
dc.date.accessioned2015-12-24T08:51:22Z-
dc.date.available2015-12-24T08:51:2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4380-
dc.description병원경영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국문 요약 최근 산업 구조의 변화로 고객 접점 및 고객 관계 업무를 담당하는 서비스 직업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서비스 관련 직업군의 비율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군은 과거에는 음식이나 호텔업 그리고 항공 승무원 등과 같이 고객 편의 제공을 주 업무로 하는 감정 노동 근로자 군이 전형적 형태를 보였으나, 최근에는 거의 모든 직업군들이 감정 노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감정 노동의 부정적 효과가 현대 산업사회의 새로운 직무 스트레스와 근로자 건강 문제를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의료계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보건의료직에 있어서도 근로자들의 직무 만족도, 삶의 질 및 건강문제 등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환자 치료의 일선을 담당하고 다른 보건 의료 직종에 비해 감정 노동의 강도가 높은 간호사의 경우 더욱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며, 간호사들의 감정 노동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부정적 문제들을 완화시켜 간호사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방안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들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감정부조화와 직장 및 가족 영역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가 직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2,000병상 이상의 4개의 종합병원 간호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설정한 감정 부조화는 요인분석을 통해 감정부조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affective commitment attitude to emotional dissonance)''와 감정 부조화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되는 ''부정적 심신반응(negative psychosomatic response to emotional dissonance)''로 구분하여 직무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또 다른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직장 내에서 제공받는 상사/동료지지와 직장 외적 영역 즉, 가족 및 친구들로부터 받는 가족/친구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감정 부조화와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3개의 모형에 의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모형 1은 일반적 특성과 직업 특성을 모형에 투입하였고, 모형 2는 모형 1의 변수에 감정 부조화의 하부 영역인 수용적 태도와 부정적 심신반응을 추가하였고, 모형 3은 모형 2의 변수에 상사/동료지지와 가족/친구지지 변수를 추가 투입하여 설명력의 변화량을 확인하였다. 우선 모형 1의 경우, 투입된 변수 중 배우자 유무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즉, 연령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위가 책임간호사 이상일 경우 직무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모형 1에서는 위의 5개의 변수가 투입되어 직무 만족도의 총 변량 중 12.7%를 설명할 수 있었다. 모형 2는 모형 1의 변수에 수용적 태도와 부정적 심신반응 변수를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모형 1에서 유의했던 연령과 근무기간의 유의성은 사라지고 새로 투입된 수용적 태도와 부정적 심신반응이 유의하게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감정 부조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가 높거나 감정부조화에 대한 부정적 반응의 수준이 낮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모형 1과 비교해 볼 때, 수용적 태도와 부정적 반응 변수가 투입됨으로 인하여 직무 만족도의 설명력을 21.7% 증가시켰으며, 모형 2에서는 7개의 변수가 직무 만족도를 약 34.4% 설명할 수 있었다. 모형 3에서는 모형 2의 변수에 직장 내에서의 상사/동료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와 직장 외에서의 가족/친구로부터 제공되는 사회적지지 변수를 추가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만족도에 유의한 관련성을 갖는 변수는 직위, 수용적 태도, 상사/동료 지지의 3개의 변수였다. 즉,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위를 가질수록, 감정 부조화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취할수록, 그리고 직장 내에서 동료나 상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를 높게 받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앞의 모형과 비교해 볼 때, 사회적지지 변수가 투입됨으로 인하여 직무 만족도의 설명력을 18% 증가시켰으며, 투입된 총 변수들의 직무 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52.4%였다. 결론적으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직급, 수용적 태도 그리고 상사/동료지지였다. 즉, 직급이 높을수록(책임 간호사 이상), 감정노동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보일수록, 그리고 직장 내에서 상사와 동료들의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간호사들의 직무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감정노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감정 부조화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조직에서 요구하는 목표에 순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교육 훈련, 조직적 차원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조직 내에서 상사와 동료 간의 지원을 확대하고 강력하게 할 수 있는 간호사 운영 시스템의 개발과 간호사 직급 간의 의사소통 채널을 강화하고 간호사 간의 직무 만족도 제고를 위한 업무협조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조직 원리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종합 병원 간호사의 감정 부조화와 사회적지지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3차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general hospitals' nurse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12483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yo, Na R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