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0 553

Cited 0 times in

Neuroanatomic basis of amnestic MCI differ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Parkinson diseas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date.accessioned2015-12-24T08:31:02Z-
dc.date.available2015-12-24T08:31:0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592-
dc.descriptionDept. of Medicine/석사-
dc.description.abstract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profiles and neuroimaging characteristics using voxel-based morphometry (VBM) to explore the neuroanatomic basis of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in patients with Parkinson disease (PD; aMCI–PD+) and without PD (aMCI–PD-). A total of 119 patients with aMCI (aMCI–PD-, n = 78 and aMCI–PD+, n = 41) underwent T1-weighted MRI, and the image data were analyzed using VBM.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 general cognition were found between patients with aMCI–PD- and aMCI–PD+. Comparison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between groups revealed that aMCI–PD– patients had lower scores in delayed verbal and visual recognition memory, whereas visuospatial dysfunction was more severe in patients with aMCI–PD+. Gray matter (GM) density in the right temporal and posterior cingular cortic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MCI–PD– group compared with controls. In contrast, GM density in the aMCI–P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recuneus and left prefrontal and primary motor areas relative to controls. A direct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that decreased GM density in aMCI–PD- relative to aMCI–PD+ was localized in the right temporal and anterior prefrontal areas, whereas decreased GM density in aMCI–PD+ relative to aMCI–PD- was involved in the bilateral precuneus, left primary motor, and right parietal areas. Memory decline was correlated with temporal area atrophy in aMCI–PD– patients and with posterior cingulate cortex atrophy in aMCI–PD+ patients. Our data suggest that different neuroanatomic systems underlie memory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MCI–PD- and aMCI–PD+. [한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파킨슨병 동반유무에 따른 신경구조학적 차이를 보기 위해서 인지적 특징과 복셀 기준 형태 계측 법을 이용한 뇌 영상 특징을 연구했다.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 총 119명 환자(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 78 명, 파킨슨병이 동반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 41 명)들이 T1-강조 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고 이 영상을 복셀 기준 형태 계측 법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와 파킨슨병이 동반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임상 특징의 차이나 일반적인 인지 기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두 집단에서의 신경인지검사를 비교해보면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가 언어지연회상 검사 및 시각적 재인기억 검사에서 더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시공간 기능은 파킨슨병이 동반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더 심한 장애를 보였다. 정상 대조군에 비해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오른쪽 측두엽과 후 허면 결절 피질 (posterior cingular cortex) 의 회백질의 위축이 심했지만 파킨슨병이 동반 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쐐기 앞부분, 왼쪽 이마앞엽, 일차운동피질에서 회백질의 위축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있었다. 두 환자 군을 직접 비교한 결과에서는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파킨슨병이 동반 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 비해 오른쪽 측두엽과 전전두엽 피질에서 회백질의 위축이 있었다. 반면에 파킨슨병이 동반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보다 파킨슨병이 동반 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양쪽 이마앞엽, 왼쪽 일차운동피질, 오른쪽 두정엽의 회백질의 위축을 보였다. 기억의 감소 정도는 파킨슨병이 동반 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측두엽의 위축 정도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파킨슨병이 동반 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의 기억의 감소 정도는 허면 결절 피질 (posterior cingular cortex)의 회백질의 위축 정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 우리의 연구는 파킨슨병이 동반 된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와 파킨슨병이 동반 되지 않은 기억 상실 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의 기억의 장애는 서로 다른 신경구조학적 체계를 갖는 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Neuroanatomic basis of amnestic MCI differs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Parkinson disease-
dc.title.alternative기억상실성 경도 인지장애 환자에서 파킨슨 병 동반유무에 따른 신경구조학적 차이-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i E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