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56 751

Cited 0 times in

돼지 모델에서 반흔 성숙 과정에 대한 인체지방줄기세포의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재욱-
dc.date.accessioned2015-12-24T08:30:54Z-
dc.date.available2015-12-24T08:30:5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587-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돼지의 등에 전층 피부 결손을 유발한 후 발생한 반흔 조직에 인체지방줄기세포(Adipose derived Stem Cell, ASC)를 주입하여 반흔이 개선되는지 알아보고, ASC가 반흔의 형성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면 그 기전을 밝혀내고자 하였다.2마리의 돼지 등에 3×3 cm2의 전층 피부 결손 창상을 한마리당 36개씩 만들었다. 약 50일 후 창상이 상피화 되고 반흔이 형성되면, 정중선을 기준으로 좌측은 대조군, 우측은 실험군으로 하여 실험군에는 1×106개의 지방줄기세포를 10일 간격으로 3회 피하 주입하였다. 대조군에는 동량의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을 주입하였다.반흔의 면적, 색깔, 유연성 등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조직학적 평가 및 정량 분석을 위해 조직 생검을 실시하였다. 생검된 조직에서 Toluidine blue 염색을 통해 비만세포의 개수를 측정하였으며, trichrome 염색을 통해 교원질의 배열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α-SMA, TGF-β1, β3, MMP1, TIMP1 등의 발현 정도를 RT–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반흔의 면적은 실험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36), 반흔의 색은 수술 후 80일 실험군에서 더 정상에 가깝게 나타났다(p=0.040). 반흔의 유연성은 실험군에서 더욱 우수하였다(p<0.0001).실험군에서는 ASC를 주입하면서 비만세포의 개수는 감소하였으며, 교원질의 배열은 더 성숙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ASC 1차 주입 후 시행한 RT-PCR 결과 TGF-ß3와 MMP1은 실험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0.0043, p=0.04), ASC 3차 주입 후 실시한 RT-PCR 검사에서는 α-SMA와 TIMP1이 실험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84, p=0.0368), MMP1은 실험군에서 의미있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p=0.0366). 돼지의 반흔 모델에 ASC를 주입한 결과 반흔의 면적이 감소하였고, 반흔의 색은 정상 피부색에 가깝게 개선되었으며, 반흔의 유연성 또한 호전되었다. ASC는 비만세포의 활성화를 낮추고, TGF-ß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작용을 억제하며, MMP를 통한 반흔의 재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돼지 모델에서 반흔 성숙 과정에 대한 인체지방줄기세포의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 of the human adipose derived stem cells on scar remodeling process in a pig model-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ae Wook-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