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602

Cited 0 times in

구인두암종 환자의 조음 및 연구개인두 기능의 술후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윤우-
dc.date.accessioned2015-11-22T07:50:23Z-
dc.date.available2015-11-22T07:50:2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61-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구인두암종의 광범위절제술 후에는 술후 심각한 기능장애, 즉 연하장애와 조음장애가 초래될 수 있다. 연구개부위 및 인두벽의 광범위한 절제에 의한 연구개인두부전 (Velopharyngeal insufficiency)은 연하장애 및 과대비성(hypernasal voice)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피판술, 특히 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한 기능적 재건이 발전해 왔으며 술후 기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된 바 있지만 조음기능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인두의 다양한 부위 및 크기의 결손을 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하여 재건한 경우에 나타나는 술후 조음기능과 연구개인두기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구인두암종으로 진단되어 광범위절제술 및 전완유리피판술을 시행받은 10명의 환자(구개편도 7예, 연구개 3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후에 언어이해도, 교대운동검사, 조음선별검사, 비음측정기(nasometer)를 이용한 비음도(nasalance score), 연성광섬유경을 이용한 연구개인두 기능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후향적 고찰을 통하여 총 10명의 환자를 구인두의 결손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4개의 군으로 구분하였다. 즉 I군은 일측의 구개편도부위 및 일부의 연구개부위에 국한된 결손을 재건한 군이며(증례 1,2) II군은 일측의 구개편도와 연구개부의 결손을 재건한 군(증례 3,4,5) III군은 II군의 결손부위와 더불어 후인두벽의 결손을 포함하여 재건한 군이며(증례 6,7) IV군은 가장 결손이 광범위한 군으로 일측의 구개편도, 양측의 연구개, 후인두벽에 걸친 결손부위를 재건한 군(증례 8,9,10)으로 분류하였다. 언어이해도와 조음선별검사상 결손의 크기가 일측 구개편도 및 연구개에 국한 되었던 I군과 II군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일상대화에 있어서 정상에 가까운 범위에 속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결손의 크기가 양측 연구개까지 확장된 경우(IV군)이거나 후인두벽까지 확장된 경우(III군, IV군)에는 언어이해도와 조음선별검사상 심한 과대비성에 의해 많은 조음장애가 초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음선별검사상 전반적으로 I군에서 IV군으로 갈수록 비음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조음장애가 나타났다. 즉 과대비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상조음(compensatory articulation)의 일환으로 파열음을 가성대나 성대에 강하게 접촉하여서 성문파열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하거나, 마찰음을 설근이나 후두개를 인두후벽에 접근시켜 인두마찰음으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양상을 보여 어두 및 어중-음절초에 ‘ㄱ’은 심하게 비음화되며, ‘ㅋ’은 ‘ㅎ’으로 대치되고, ‘ㄲ’은 성문파열음으로 대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개인두의 기능을 평가하는 비음도와 연성광섬유경을 이용한 검사에서는 I군과 II군에 비해 III군과 IV군에서 심한 과대비성을 동반한 비음도의 증가와 연구개인두의 폐쇄부전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하여 향후 구인두암종환자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때 술후 조음기능을 예측하고 술후 상담 및 언어치료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결손부위의 재건시 피판의 종류 및 작도를 선택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으나 향후 전향적인 연구를 통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영문]Head and neck surgeons are always confronted with postoperative functional deficit after wide resection of head and neck area.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from wide resection of soft palate and pharyngeal wall cause swallowing and articulation difficulty. Recently, reconstruction op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expanded and revitalized by advent of free tissue transfer. Especially, radial forearm free flap have been used for soft palate reconstruction, but there have been limited reports regarding functional outcomes after primary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oropharyngeal cancers involving multiple anatomical si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port retrospectively collected articulation function score and velopharyngeal function results in patients having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s after primary resection for oropahryngeal cancer. Ten patients treated for oropharyngeal cancer by wide excision of primary lesion and reconstruction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was included. Assess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diadochokinetic test , articulation discrimination test, nasometer, and velopharyngeal orifice examination with fiberoptic nasopharngoscope was accomplished. Ten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extent of surgical defect and portion of resection as follows. Group 1: only one side of the lateral pharyngeal wall and palatine tonsil area(n=2), Group 2: One side of palatine tonsil and soft palate(n=3), Group 3: One side of palatine tonsil, soft palate, and part of the posterior pharyngeal wall(n=2), Group 4: One side of palatine tonsil, soft palate which reached beyond the uvula to opposite side, and part of the posterior pharyngeal wall(n=3). In speech intelligibility and and articulation discrimination test, five cases which belonged to group 1 and 2 were judged to show and excellent state. Five cases which belonged to group 3 and 4 were judged to show moderate state. These results resulted from hypernasality of patients in group 3 and 4. In articulation discrimination test, the results was increasingly affected with hypernasality from group 1 to group 4. In nasometer tesst, patiets of group 3 and 4 were judged to show higher nasalance score(nasality) than those of group 1 and 2. In velopharyngeal orifice examination with fiberoptic nasopharyngoscope, near perfect closure or complete closure was achieved in effort of velopharyngeal closure in group 1 and 2. But a small space was evident in the side reconstructed with a free flap in group 3. In group 4, velopharyngeal space was not closed. We will consider that this study aids in counseling the patients and predicting the postoperative status of speech and velopharyngeal fun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primary defect and the reconstruction methods. For better prediction of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status, we need plans of prospective functional evaluations and comparison assessments of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tatus are need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구인두암종 환자의 조음 및 연구개인두 기능의 술후평가-
dc.title.alternativePostoperative assessment of articulation and velopharyngeal functions in oropharyngeal cancer-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13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h, Yoon Woo-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고윤우-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