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876

Cited 0 times in

전기성문파형검사를 중심으로 한 T1 성문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전후 음성 및 화상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세영-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9:23Z-
dc.date.available2015-11-22T07:49:2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72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T1 성문암은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 치료의 결과가 같기 때문에 음성의 질이 치료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까지의 연구들에 의하면 방사선 치료 후 보존된 음성은 대부분이 정상이라는 연구부터 상당수가 비정상이라는 연구까지 그 결과가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성의 주된 원인은 정확하고 객관적인 음성언어검사방법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음질검사와 성대기능검사를 실시하고 새로운 검사법인 Lx Speech Studio를 이용한 전기성문파형검사를 실시하여 방사선 치료 후 성대음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고 더불어 새로운 검사법인 전기성문파형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T1 성문암을 진단 받은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 전과 치료 후 2개월에 음질검사로 Perceptual test와 음향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대기능검사로 공기역학적검사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그리고 전기성문파형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상 대조군으로는 후두에 아무 이상이 없는 성인 남자 15명을 대상으로 같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각 검사들의 방사선 치료 전후 결과들을 비교하고 방사선 치료 후 결과와 정상성인의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Perceptual test에서는 방사선 치료 전후에 의미 있게 평균값이 감소되어 방사선 치료 후 음성이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치료 후 2례에서만 음성이 정상이었다. 음향분석에서는 방사선 치료 전후에 의미 있게 변화가 있는 것은 기본 주파수, Jitter, Shimmer이며 HNR은 방사선 치료 전후 값에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방사선 치료 후의 값과 정상인의 값을 비교한 결과 기본 주파수, Shimmer, HNR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Jitter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공기역학적검사에서는 방사선 치료 전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값의 변화가 있는 항목은 없었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glottic closure와 wave, non-vibrating portion등 3가지 항목에서 방사선 치료 전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고 나머지 3항목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그리고 치료 후 60-80%가 정상소견을 보였다. 전기성문파형검사에서는 방사선 치료 전후에 의미 있게 값의 변화가 있었던 것은 %Fx와 성문폐쇄율이었고 %Ax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방사선 치료 후의 값과 정상인의 값을 비교한 결과 성문폐쇄율과 %Ax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고 %Fx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방사선 치료 후 음성이 치료 전보다는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나 상당수가 비정상적인 음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방사선 치료 전후 음성분석에 있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검사방법 중 Perceptual test와 음향분석, 후두스트로보스코피등이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공기역학적검사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는 검사방법임을 알 수 있었으며 어느 한가지 검사방법을 사용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한 multidimensional analysis가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마지막으로 전기성문파형검사는 이런 연구에 새롭게 시도된 방법으로 본 연구결과 다른 음성언어 검사방법들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훌륭한 성대기능검사로 사료되었고 향후 음성검사에 있어 기본적인 검사방법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As both surgery and radiotherapy have similar effect on T1 glottic cancer, the quality of voice after the treat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suitable treatment method. Many previous studies showed varied or even contrary results of radiotherapy that the recovered voice after treatment was either generally normal or abnormal. The absence of precise and objective voice test is believed to be the major reason of above inconsistent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ice changes after radiotherapy and the clinical efficacy of Electroglottography(EGG) as a new test method. To do so, this study performed widely accepted voice quality test and vocal function test as well as newly introduced EGG using speech studio program. Ten patients diagnosed as T1 glottic cancer received voice quality test and vocal function test before and two months after radiotherapy. Voice quality test includes Perceptual test and Acoustic analysis, and vocal function test includes Aerodynamic study, Videostroboscopy and EGG. As a control group, fifteen male adults who have normal larynx went though the same tests. The comparison result of T1 glottic cancer patients and fifteen-male group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is as below. Perceptual test showed that voice quality improved after radiotherapy because the mean value reduced significantly. But, only 2 cases have normal voice after treatment. Acoustic analysis showed that whereas fundamental frequency, Jitter, Shimmer changed significantly after radiotherapy, HNR did not change. In the comparison of two groups, Fundamental frequency, Shimmer, HNR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Jitter resul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erodynamic study had no item that had value change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videostroboscopy, glottic closure, wave and non-vibrating por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after radiotherapy and remaining three items had no statically significant change and 60-80% of patients had normal videostroboscopic finding after treatment. In EGG, %Fx and Qx showed significant changes whereas %Ax had no change. In the comparison of patient group against control group, Qx and %Ax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and %Fx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proved that the voice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radiotherapy, but many cases were found to be abnormal voice. Among various test methods that are used to voice analysis before and after radiotherapy, Perceptual test, Acoustic analysis and Videostroboscopy were found to be reliable and meaningful methods. On the contrary, Aerodynamic study had limitations to get proper and reliabl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dimensional analysis with diverse methods is required. Lastly, EGG that were tried newly in this kind of study is believed to be a great vocal function test that can overcome shortcomings of other methods and may be used as a basic test method of future voice tes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전기성문파형검사를 중심으로 한 T1 성문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전후 음성 및 화상분석-
dc.title.alternativeElectroglottographic measurement with vocal and videostroboscopic analysis for T1 glottic cancer patients after cura-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