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46 2589

Cited 0 times in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미경-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3:07Z-
dc.date.available2015-11-22T07:43:07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98-
dc.description산업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이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따른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와 바람직한 건강실천행위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4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04명으로 이들에게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직무스트레스와 인성적 특성, 건강실천행위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사의 영역별 직무스트레스 정도는 업무량 과중의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A형 행동유형의 성향 그리고 자기 존중심이 낮은 층에서 높았다. 건강실천행위 중 건강식품 복용은 직위가 높고, 기혼자이며, 29세미만의 저 연령층에서 많이 복용하였고, 미혼이고, 학력이 높고, A형 행동유형의 성향에서 규칙적 운동을 하였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가 안전벨트를 잘 착용하였고, 비교대 근무자와 직위가 높을수록 규칙적인 식사를 하였다. 전반적인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실천행위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간호사가 불규칙한 식사를 하고 있었다. 또한 다변량 분석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하부 요인별 건강실천행위와의 관련성을 보면 업무량에 대한 부담이 많은 간호사가 수면시간이 길고, 규칙적인 식사, 운동과 안전벨트 착용을 잘 하지 않았다. 그리고 밤 근무의 부담을 많이 받는 간호사가 커피를 많이 마시고 있었으나 오히려 규칙적 운동과 안전벨트의 착용은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일반, 직무 및 인성적 특성이 건강식품복용, 규칙적 운동, 안전벨트의 착용, 규칙적 식사 등의 건강실천행위와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업무량 과중의 직무스트레스 영역이 수면시간, 규칙적 식사와 운동, 안전벨트의 착용, 커피 음용 등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의 적절한 관리는 간호사의 바람직한 건강실천행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앞으로는 간호사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 올바른 건강실천행위를 중재할 수 있는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a nurse''s job stress on its health practice behavior in order to collect basic data for good stress control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It surveyed with 304 nurses who worked in 4 university hospitals and who were asked to self-report a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the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personality,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For a nurse''s job stress by variable, it is shown the highest stress in overworks, following by those with strong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ose with lower self-esteem. Nurses in higher positions, married and young nurses less than 29 years old are more likely to have health foods of health practice behavior, while single nurses, those with higher schooling, and those with type A behavior pattern tend to exercise regularly. In addition, nurses who believe in a faith are more likely to fasten a safety belt, and those who do not work on a shift basis, and those in higher positions tend to have hard rules of meals. For relations between general job stres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it is found that nurses with stronger job stress have irregular meals. For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of job stres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after multi-variate analysis, nurses with more burden of works are more likely to sleep long, not to have regular meals, exercising and fastening a safety belt. Whereas, nurses in night-shifts reported more drinking a coffee, preferably regular exercising and fastening a safety belt. The result shows that a nurse''s general, job,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elate to health practice behavior such as fastening a safety belt and having regular meals, while job stresses from overworks have effect on health practice behavior, such as sleeping hours, regular exercising and meals, fastening a safety belt, and drinking a coffee. It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 control of job stress will help nurses encourage desired health practice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need to focus on means to help a nurse''s healthcare and to intervene right health practice behavio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health practice behavio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Mi K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