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3 702

Cited 0 times in

심장폐우회술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milrinone의 지속 정주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장호-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1:31Z-
dc.date.available2015-11-22T07:41:3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440-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Phosphodiesterase-III inhibitor인 milrinone은 심근수축력 증가, 혈관 확장, 동맥 연축 방지 등의 효과가 있어서 심부전 환자 및 심장 수술 후 심근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장폐우회술 없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수술을 받는 환자에게 내흉동맥 박리 후부터 문합 기간 내내 milrinone을 예방적으로, 부하 용량 없이 지속 정주하였을 때, 문합 중 발생하는 혈역학적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OPCAB이 예정되었던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milrinone을 투여한 실험군(29명)과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33명)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취 유도 후 내흉동맥을 박리한 후 실험군은 milrinone 0.5 mg/kg/min을, 대조군은 이에 해당하는 양의 생리식염수를 지속 정주하기 시작하여 관상동맥 문합이 끝날 때까지 지속하였다. 심낭 절개 후, 각각의 관상동맥 문합을 위해 심장 고정기를 부착하고 1분, 3분, 5분, 10분 경과 후, 관상동맥 문합이 끝나고 심장 고정기를 제거한 후에 혈역학적 변수 들을 기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연령, 성비, 체표면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두 군 모두에서 어떤 이유로든 심장폐우회술로 응급 전환한 환자는 없었다. 평균 전신동맥압, 평균 폐동맥압, 폐모세혈관쐐기압, 중심정맥압, 일회 박출지수, 폐혈관저항지수 등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고, 심박수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심박출지수는 좌전하행동맥, 좌회선동맥분지에 우회술을 시행하는 동안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전신혈관저항지수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심박출량, 일회 박출지수, 혼합정맥혈산소포화도의 시기별 측정치의 대조치에 대한 백분율 (Δ%)을 계산하여 두 군간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심박출지수와 혼합정맥혈산소포화도의 Δ%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커서 이들의 감소정도가 적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일회 박출지수의 Δ%는 좌회선동맥분지와 우측관상동맥 문합 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각 관상동맥의 문합 중 사용된 norepinephrine의 양은 좌전하행동맥 문합 시 실험군에서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적었으며, 마취기간동안 투여된 수액량과 소변량 그리고 수술 기간동안 적혈구용적의 감소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PCAB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내흉동맥 박리 후부터 문합을 종료할 때까지 milrinone을 부하용량 없이 지속 정주한 결과 치료를 요하는 저혈압이나 빈맥, 부정맥의 발생 없이 심박출량과 혼합정맥혈산소포화도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는 바 , 특히 문합 중 혈역학적 불안정 및 저심박출량 상태가 예상되는 환자에서 milrinone의 예방적 투여가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Milrinone, a phosphodiesterase III inhibitor, has been shown to improve cardiac function and facilitate weaning from cardiopulmonary bypass (CPB) in cardiac surgical patients, and also has direct vasodilating effect on arterial coronary bypass grafts and increase grafted mammary artery flow after CPB.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preemptive continuous infusion of milrinone in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on hemodynamic changes during anastomosis./Total 6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29 were in control group(C group) and 33 were in milrinone group(M group). After the harvest of internal thoracic artery, the infusion of milrinone 0.5 μg/ kg/ min or the same amount of normal saline (M group and C group, respectively) was started and was maintained till the end of anastomosis. Hemodynamic variables were measured after pericardiotomy, 1, 3, 5, and 10 min after tissue stabilizer was applied for each coronary artery anastomosis, and measured when tissue stabilizer was removed after each coronary artery anastomos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and body surface area between the both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systemic arterial pressure,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central venous pressure, stroke index(SI),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index between the both groups. Heart rate was higher in M group than in C group. Cardiac index(CI)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 group than in C group during left anterior descending(LAD) and left circumflex artery anastomosis(LCx).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M group than in C group. D% of CI and D% of mixed venous O2 saturation (SvO2)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M group than in C group, and D% of SI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M group than in C group during LCx and right coronary artery anastomosis. The amount of norepinephrine infused during LAD anastomosis was significantly less in M group than in C group. The amount of fluid infused, blood transfused during operation and pre- and post-operative hematocrit were not different between both groups./In conclusion, continuous infusion of milrinone without a bolus dose before and during coronary anastomosi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egree of reduction in CI and SvO2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OPCAB and this therapy is considered as helpful, especially in patients with decreased cardiac function and low cardiac outpu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심장폐우회술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는 환자에서 milrinone의 지속 정주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icacy of preemptive continuous infusion of milrinone in OPCAB-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28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oh, Jang Ho-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장호-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