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3 580

Cited 0 times in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대영-
dc.date.accessioned2015-11-22T07:40:11Z-
dc.date.available2015-11-22T07:40:1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388-
dc.description역학 및 건강증진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심혈관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질병 및 사망 원인의 하나이며, 이 질병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또한 이 질환은 높은 사망률과 치명률을 나타내므로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욱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심박동변이(heart rate variability, HRV)는 심장의 자율기능을 반영하는 것으로 심질환 환자의 심혈관 질환의 예측인자로 유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심박동변이의 분포를 살펴보고,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의 관련성을 알아보며, 심박동변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2001년 7월부터 2002년 2월까지 건강검진을 실시한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는 NCEP에서 제시한 나이, 흡연력,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고혈압 유무, 혈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각각을 심박동변이와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수에 따라 저위험군, 고위험군, 최고위험군으로 층화하였고, Framingham score를 측정하여 심박동변이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에서는 NCEP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중 나이, 가족력, 고혈압,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는 위험인자가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기타 위험인자에서는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이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심박동변이가 유의하게 작았다. 여자에서는 NCEP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중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고혈압은 위험인자가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으며, 기타의 위험인자는 공복혈당과 중성지방이 위험요인이 있는 군에서 심박동변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은 값을 보였다. NCEP의 세 개의 위험군과 심박동변이를 분석한 결과 저위험군, 고위험군, 최고위험군에서 심박동변이의 평균이 세 개의 군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결론적으로, 성별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가 관련성이 있었고, 세 개의 심혈관질환 위험군에서 심박동변이가 유의하게 차별성을 보였으므로, 심박동변이가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대한 비침습적인 주요한 표지자가 될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영문] Cardiovascular diseases are a multifactorial pathology with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and therefore importance has been stressed on its preventi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reflects cardiac autonomic function and has been accepted as a useful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s. Method : From July 2001 to Feb. 2002, 105 persons who took the routine medical checkups were recorded. The CHD risk factors were age, cigarette smoking, family history of premature CHD, hypertension, low HDL cholesterol.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risk factor and HRV and the differences in HRVs in the three Categories. Result : In male, HRV of the group who had the CHD risk factors as age, family history of premature CHD, hypertension, HDL cholesterol were fe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emale, HRV of the group who had the CHD risk factors as HDL cholesterol, HTN were fewer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ategories which represented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Conclusion : HRV showed a relationship with the CHD risk factor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ategories which represented the number of CHD risk factors. HRV are possible as a clinical marker and follow-up instrument for CH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심혈관질환 위험인자와 심박동변이-
dc.title.alternativeHeart rate variability and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ae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