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9 423

Cited 0 times in

의약분업 이후 의약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수미-
dc.date.accessioned2015-11-22T07:38:51Z-
dc.date.available2015-11-22T07:38:5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336-
dc.description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이 연구는 의약분업 이후 의약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의료이용 행태의 변화로 진료 후 처방전을 가지고 원외약국에서 조제를 받아야 하는 등 시간, 비용, 절차상의 새로운 번거로움이 발생함에 따라, 일반 국민이 느끼는 의약서비스 이용시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국민을 위한 제도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지역, 성, 연령을 고려하여 비례무작위로 추출된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540명으로, 조사기간은 2002년 3월 28일∼29일, 2일간 전화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통화 성공률은 28.7%였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4.2%였다. 분석방법은 SAS Version 8.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만족도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분업 시행 이후 일반 국민은 의료기관에서의 절차 소요시간에 다소 불만이 있었으며, 의약분업으로 인한 약국의 대형화 추세로 인한 시설 및 대기실의 환경과 약사의 복약지도는 나아졌으나 처방전 발급증가로 인한 약국의 조제환자는 증가되고, 그에 따른 약 조제 시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의약서비스 이용 만족도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매우 불만족하고 있었다.둘째, 응답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20∼30대에 비하여 40∼50대의 만족도가 낮았고, 60대 이상의 집단은 다소 높았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만족도는 낮아졌고,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만족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300만원 이상에서는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진료고유서비스, 진료이후 조제장소 탐색과정, 조제서비스, 만족도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요인으로 거주지역이 있었는데, 대도시에 비하여 중소도시에 살고 있는 응답자의 만족도가 낮았고, 군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끝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등이 있었고, 성, 거주지역, 직업, 의료보장 종류 등의 요인은 만족도에 그다지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이상에서 볼 때, 의약분업 이후 의약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일반 국민은 매우 불만족해 하고 있었고, 절차, 소요시간, 소요비용 모두에 대한 불편을 호소하였고, 연령대별, 교육수준별, 소득수준별, 거주지역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 요인 역시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으로, 향후 의약분업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이를 충분히 고려한 차별화 된 전략을 개발하여야 하고, 국민의 위한 의료정책으로 이끌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analyze of satisfaction felt by people according to changes in medical practices after separation policy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and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is change in satisfaction in order to support the practice of separation policy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for people. A survey was done over the phone in 540 adults older than 20 years of age in all over Korea for 2 days from March 28-29, 2002.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people were somewhat dissatisfied with procedures and taking time at hospitals after separation policy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and was extremely dissatisfied in using medical services such as increased number of patients taking prescription medicin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escription and according increased waiting time at pharmacies, despite the fact that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 in waiting areas at pharmacies and welfare of pharmacists have improved. Secondly, when comparison was mad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in people in their 40''s to 50''s compared with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was somewhat high in people in their 60''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with increased level of education and with increased level of income. Moreover, the factor that commonly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mbined index was residential area in which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in people residing in small to medium cities compared with those residing in large cities and high in people residing in Gun(an administrative district smaller than a city) areas, showing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age, education level, and different group in different residential areas. Finally, the decisive factors mainly affecting on satisfaction were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and the factors such as age, residential area, occupation and types of medical insurance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on satisfaction. For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zation of the practice of separation policy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in the future, we need to develop differential strategie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and need efforts to carry out medical policies for peopl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의약분업 이후 의약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분석-
dc.title.alternative(An) analysis of satisfaction on the separation policy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of medicin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oo M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