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9 1143

Cited 0 times in

보건진료소의 건강목욕 프로그램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건강행위와 자아존중감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현사생-
dc.date.accessioned2015-11-22T07:32:46Z-
dc.date.available2015-11-22T07:32:4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8098-
dc.description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최근 우리 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인간의 오랜 숙원 인 평균수명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이는 곧 인구구조의 변화로 이어져서 인구의 노령화와 의료비의 증가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가족구조의 변화로 가족기능이 축소되어 가족내의 노인의 역할과 지위가 변화되어 노인들의 자존감이 많이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농촌은 도시지역에 비해 노인들로 만 구성된 세대가 많으며, 노인들 대부분 한 두 가지씩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뿐만 아니 라, 건강관리에 필요한 제반 여건마저 매우 취약하므로 노인들에게 있어서의 건강증진은 대부분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노인들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이에 정부에서는 보건소,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한 일차보건의료를 활성화함으로써 농 어촌지역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과 더불어 이를 널리 시행하 기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건강목욕 프로그램은 이러한 상황에서 시도된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사업으로 몇 해 전부터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활발히 수행하고 있 는 사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보건진료소의 건강목욕프 로그램에 참여한 노인과 참여하지 않은 노인간의 건강행위와 자아 존중감의 차이를 알아 보기 위해 시도된 후향적 비교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로서 건강목욕 프로그램 참여군은 보건진료소에서 연 4회 이상 건강목욕 프로 그램을 실시하는 충북지역의 40개 보건진료소의 65세 이상노인 중에서 프로그램에 4회 이 상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 150명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비참여군은 건강목 욕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는 보건진료소의 관할지역의 65세 노인 중에서 연구에 참여하 기를 동의한자 150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건강목욕 프로그램현황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2 001년 현재 충청북도에서 건강목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보건진료원 40명 전수를 대 상으로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2년 4월 20일부터 2002년 5월 10일까지 22일간 진행되었다. 건강행위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최영희(1996)가 농촌 노인의 건강 행위를 측정하 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자아 존중감 측정은 Ronsenberg(1965)가 개발한 자 아 존중감(self esteem) 도구를 전병제(1974)가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농촌 노인에 적합 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보건진료소의 건강목욕 프로그램 현황 은 빈도와 비율로 분석하였고, 건강목욕 프로그램 참여노인과 비참여 노인의 인구사회학 적 특성은 빈도와 비율로, 건강관련 특성은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건강 목욕 프로그램 참 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건강 행위와 자아 존중감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진료소 건강목욕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본 결과,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곳이 75.6%로 가장 많았으며, 제공 횟수는 월 1회 실시가, 1회 참여 인원은 31-60명이 가장 많은 빈도로 조사되었다. 또한 건강목욕 프로그램 시 보건교육을 가장 많이 병행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건강목욕 프로그램 참여노인과 비참여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두 군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연령대는 70-79세가, 학력은 무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참여노인이 비참여 노 인보다 종교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9.333, p =.003), 또한 참여노인이 비참여 노인보다 친구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3.435. p=0.047). 3) 건강목욕프로그램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건강관련 특성으로, 참여군이 비참여군보 다 운동과 건강검진, 규칙적임 목욕 등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참여노 인은 참여노인보다 음주를 더 많이 하고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건강목욕프로그램 참여노인이 비 참여노인에 비해 건강검진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19.836, p=.000). 4) 건강목욕프로그램 참여노인이 비참여노인보다 신체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 정서영역, 그리고 영적 영역 모두에서 건강행위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영역 에서 건강행위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t= 3.701, p=.00 1 ). 5) 건강목욕프로그램 참여노인이 비참여노인보다 자아 존중감이 더 높았으며, 이는 통계 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3.483, p= .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건진료소 건강목욕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비참여노 인에 비해 건강검진 횟수가 더 많았으며, 가깝게 지내는 친구가 더 많았다. 특히 참여노 인의 경우 비참여노인보다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 영적 영역 모두에서 건강행위를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건진료소 건강목욕 프로그램은 인생의 끝자락에 서서 우울하게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농촌의 노인들을 건강목욕 프로그램에 참여시킴으로서 노인들 스스로의 건강 행위를 높여 주었으며, 자아 존중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따라서 보건진 료소 건강목욕 프로그램은 농촌노인들에게 있어서 저하된 자아 존중감과 건강증진향상을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고 판단된다. [영문] A long-cherished increase in the human life span is realized due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f Korea, which has led to changes in the structure of population, bringing about a lot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ged people and in medical expenses. The functions of families are reduced on account of changes in the structure of families caused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have changed the roles and status of old people in families and have reduced their self-esteem. The country in particular has more aged people than a city, and most of them have more than one chronical disease and are exposed to poor health care conditions, leaving their health care neglected.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their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in the earliest possible days. In this context, health clinics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health bath programs as a vehicle for projects aimed at promoting the health of the old. This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of a group taking part in health bath programs provided by welfare clinics and its counterpart group; the subjects are aged more than 65. The research ranged from April 20 to May 10, 2002 (22 days), and the subjects consisted of 40 health clinic workers conducting health bath programs in C city as of the year 2001. The first group took part in the programs more than four times provided by 40 health clinic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which supply health bath programs over four times a year, and consisted of 150 old people who had agreed to take part in this research. The second group consisted of 150 old people who had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in the area under the control of clinics not providing health bath programs. The researcher made use of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oi Yeong-hee with a view to measuring the health behavior of old people in the country, relying on Jeon Byeon-j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보건진료소의 건강목욕 프로그램 참여노인과 비참여노인의 건강행위와 자아존중감 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ison between the health behavior and self-esteem of old people taking part in health bath programs provid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yun, Sa Sae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