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46 1099

Cited 0 times in

국가 재난대비 군(軍) 응급의료 지원체계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일순-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6:26Z-
dc.date.available2015-11-22T07:26:2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856-
dc.description병원행정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현대 사회의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한 산업화, 도시화로 최근 우리 사회는 각종 대형사고 발생 가능성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간 대형사고를 통해 발생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로 재난에 대한 국민의 안전과 응급의료지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대형사고 이후 드러난 재난 응급의료 지원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각종 위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범정부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의 재난 응급의료 체계는 위험 유형에 따라 부처별 관리체계가 다르고, 민·관·군의 통합된 응급의료체계가 미구축되는 등 각종 대형재난시 적절한 대응 및 위기관리체계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1990년대 잇따른 대형 재난사고의 효율적인 수습을 위해 1995년 재난관리법이 제정되면서 현장 응급의료기반은 마련되었으나, 우리실정에 맞는 재난 대비 응급의료 지원체계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대형 재난 사고를 통해 언제 닥쳐올지 모를 응급의료에 대한 국민의 인식전환과 정부의 예산지원, 그리고 최상의 응급의료 정책 추진이야말로 복지국가로 가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군은 국민의 군대로써 재난에 대비한 국민의 안전과 응급의료 지원을 통해 군의 역할 확대와 민·관·군 합동 재난대비 체제구축을 위해 군(軍)이 지향해야 할 응급의료 지원체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재난관련 응급의료체계 관련자료의 문헌고찰과 주요 선진국의 재난대비 응급의료체계 분석, 최근 발생된 민간과 군의 응급의료 전달체계의 실태 분석을 토대로 나타난 문제점과 군 응급의료지원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겠다. 그간 연구를 통해 민간과 군의 재난대비 응급의료체계 상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다. 먼저, 민간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이다. 첫째, 재난관리체계에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통제기구가 없고, 재난관련 부처의 다원화로 인해서 효율적인 통제가 불가능하고, 재난 대비 예산 투자의 저조와 행정구역별 협조체계가 미약하다. 둘째, 응급의료 체계에서는 응급의료 통신체계의 다원화 및 무선 소통이 제한되고, 현장응급처치의 부재와 이송간 응급처치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또한, 응급의료 기관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응급실 전문의료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다음, 군(軍) 응급의료체계의 문제점이다. 첫째, 재난관리체계에서는 재난 대비한 응급의료지원의 근거가 미정립되었고, 다단계 지휘계통으로 인한 재난 대응의 지연, 그리고 정책부서의 응급의료 조직과 전문성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둘째, 응급의료 지원체계에서는 현장처치 및 후송단계의 전문 인력부족과 후송수단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 통신체계의 미구축과 민·군간 정보공유시스템이 미구축된 상태이다. 또한, 군교리의 민간적용이 곤란하고 권역별 통합된 응급 진료권의 미설정과 후송체계의 효율성 저하가 문제이다. 그러므로 민간 및 군의 전문인력, 장비, 시설, 통신체계 등의 상호보완체계의 미구축은 국가재난시 인적, 물적 자원의 효율적인 대응이 제한됨에 따라 실질적인 역할수행이 가능하도록 범국가적인 차원의 정책마련과 재난대비 군 응급의료 지원 체계의 발전방안에 대 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민·관·군의 권역별 공조 및 지원체계 구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긴급구조 유관기관의 역할 및 기능분담이 필요하며, 응급의료 통신망의 협조체계구축과 권역별 통합된 응급진료권 설정의 제도화가 요구된다. 둘째, 군의 전문 응급의료 요원의 적극적인 활용이다. 군의 상시 훈련되고 조직화 되어있는 응급의학 전문의와 응급구조사, 응급처치요원 등 상당한 전문 인적자원과 대량 환자 발생시 분류반 조직의 기능 및 역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군의 환자 후송장비 활용 및 개선이다. 현재 군에서 보유한 1330여대의 구급차를 119 구급대와 함께 환자의 이송을 담당해야 하고, 점진적으로 기존 구급차의 기능보강과 신형구급차 확보로 달리는 응급실의 기능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의무 후송헬기 를 운용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절차가 더 간소화되고 헬기 내장용 의무장비·물자 및 의약품을 Set화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응급의료 인력의 양성 및 확보이다. 현재 많은 의무요원 및 응급구조사를 배출하고 있으나, 군의 실제상황에 맞는 응급처치 교육강화와 응급구조사 양성교육대상이 확대 되어야 한다. 또한, 우수야전 의무휘장제도와 같은 응급의료요원 양성제도의 도입이 요 구된다. 다섯째, 응급의료 관련교리의 정립 및 표준화이다. 군의 재난 구조에 대한 의무적인 지원근거와 교리를 발전시켜야 하며, 대량 전상자 분류반 운용교리의 군과 민간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여섯째, 민·관·군 응급의료관련 연구 및 협의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재난 대비한 민과 군간의 연구 및 정보교환 상설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협의기구 설치를 위해 관련기관과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재난에 대비한 응급의료지원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군의 보유한 유용한 인적·물적 자원 및 상시 조직화된 체계를 적기에 활용하고, 민·관·군의 유기적 공조체제를 공고히 한다면, 향후 닥쳐 올 대형 재난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여 국민의 생명을 구함과 동시에 국민의 군대로서 믿음과 사랑을 받을 것이다. [영문] Recentl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fueled by rapid economic growth in modern society have brought us various problems as potential large-scale accidents.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rising attention to public safety and emergency medical support in times of disasters, after witnessing human and financial damages by large-scale accidents in the last decade. Developed countries, once problems with disaster-related emergency medical system are revealed, analyze them and organize government-led managerial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deal with them. On the other hand, the system in Korea shows some loopholes. In fact, the government-led disaster-managing system is quite in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reat and there is no consulted emergency medical system between civilian, official, and military sectors. Following numerous large-scale accidents in the 1990s, a law on disaster-management was passed in 1995 so that they could be effectively handled. Though the law gave some bases for on-the-spot emergency medical care, the support system that fits the situation in Korea is yet to be established. We need to change public mindset on emergency medical care for unexpected disasters and go ahead with the government-supported budget financing and the most appropriate policies. This could be the first step toward standing shoulder to shoulder with the so-called 'welfare countrie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he military can expand its roles through securing public safety and through supporting emergency medical care on behalf of the public. In addition, it will also shed some light on how to improve the system to build a consulted disaster-management system with civilians and officials. This study suggested some ways to develop the military emergency medical support, based on relevant documents, analyses of some developed countries' cases and recent analyses on communication system in civilian and military sectors. The study so far has revealed problems as following in the commanding system of civilian and military disaster-management medical systems. Here are two main problems with the civilian commanding system. First, there is no control body on the government level, thus making effective control unavailable due to the complexity in government parties involved. Besides, budgets are tight to finance frequently happening disasters and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administrative areas is inadequate. Second, pluralism in the communication and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medical system are seen as obstacles. On-the-spot and on-the-way emergency treatment never exists or is not adequate, either. Also, emergency rooms are running out of ER manpower because emergency institutions are disproportionately located around the nation. Then, there are two problems with the military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 system. First, cases for disaster-related emergency medical support are weak. Responding time to disaster scenes is being delayed due to multi-leveled commanding system. And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lack well-planned organizations and expertise. Second, the emergency medical support system lacks professional manpower in terms of on-the-spot treatment and patient-transfer. Transferring facilities are decrepit and not functioning well. Communication system and information-sharing system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sectors are yet to be built. Inadequacy of applying military rules to civilian sector, absence of regionally unified emergency care system, and lowering effectiveness of patient-transfer system are problems as well. In a nutshell, should recognize that the absence of mutually complementing system between civilian and military sectors in terms of professionals, devices, facilities, and communication system could cause a dire situation, in whic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could run out in a short time. Thus, it is urgent for us to come up with policies on the government level and to try to improve each problem.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ways to develop military emergency medical support system in times of disasters. First, there should be a cooperation and support system on regional basis between civilian, official, and military sectors. To do that, we need to share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parties involved in emergency rescue. While emergency medical communication networks should cooperate, unified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s should be set by region as well. Second, professional emergency medical manpower in the military should be actively put on the spot. We need to make a full use of significant number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such as always-well-trained and well-organized emergency service professionals, rescue workers, and paramedics. Also, we should utilize patient- categorization teams in case of disasters that incur mass casualties. Third, the military should fully utilize and improve patient-transfer devices. As of today, the military is equipped with some 1,330 emergency vehicles. It is gradually buying and operating new vehicles that can function as a 'running ER'. However, their utilization is limited due to aging and poor functioning of the existent vehicles. In addition, though 6 transfer helicopters for medical purposes are currently on the run, we should streamline the process to use them and fully equip them with sets of medical devices and medicines inside the aircrafts. Fourth, the military need to train emergency medical human resources. Though they churn out lots of paramedics and rescue workers currently, they should reinforce practical emergency treatment education and expand the education for rescue workers. Besides, they should introduce U.S. military training systems as Expert Field Medical Badge to develop emergency medical professionals. Fifth, the military should establish and standardize emergency- related disciplines. They should develop cases for emergency support and disciplines and standardize the rules of civilians and the military on patient-categorization teams in disasters of mass casualties. Lastly, there should be research and consultation bodies between civilian, official, and military sectors regard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eparing for possible disasters, civilian and military sectors have to share research results and information. In order to launch this kind of consultation body, institutions concerned and expert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with great interests. In conclusion, the military will get public confidence and affection as well as save public lives in future mass disasters if they timely deploy useful resources to places in need so that they can effectively operate disaster-related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if they solidify organizational cooperative system with civilian and official secto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국가 재난대비 군(軍) 응급의료 지원체계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ilitary Emergency Medical Support System in case of National Disast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Il S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