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3 1077

Cited 0 times in

여성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생리와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와 공무원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명환-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1:16Z-
dc.date.available2015-11-22T07:21:1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65-
dc.description산업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Karasek의 업무내용설문지를 이용하여 여성 근로자(간호사와 공무원)를 대상으로 직장 내 스트레스가 여성의 생식기능 중 생리규칙성, 생리주기, 생리기간, 그리고 생리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임신 시 조기출산 및 자연유산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서울 및 인천의 종합병원 2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과 서울 2개 구청의 여성 공무원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설문조사는 2001년 5월 21일부터 6월 7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생식기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에 따른 생식기능의 차이를 보기 위해 χ²검정과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가 생식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 규칙성, 생리주기, 생리기간, 생리통, 조기출산, 자연유산을 종속변수로 하고 일반적 특성 및 직업적 특성, 직무 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χ²검정에서 각각의 정신적 직무요구도, 직무 재량도, 사회적 지지와 생리규칙성, 생리기간, 생리주기, 생리통, 조기출산과의 통계학적 연관성은 없었으나 자연유산에서는 각각의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자연유산에 있어 직무요구도가 높은 군이 낮은 군에 비하여 자연유산의 위험이 4.11배(95%신뢰구간, 0.96-17.62) 증가하였고, 사회적 지지도의 경우 지지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에 비하여 자연유산 될 위험은 0.15배(95%신뢰구간, 0.02-0.8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향후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직무 요구도를 낮추는 스트레스 대처 방안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여성 근로자의 생리 장애와 임신의 부작용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lation of job stress to alterations of menstrual function (regularity, length of menses, cycle length, and dysmenorrhea) and outcome of pregnancy (preterm delivery and spontaneous abortion) of female nurses and officers. Job content questionnaire by Karasek was administered to 200 female nurses and 150 officers in May 21, 2001 to June 7, 2001. Univerate analyses(χ² test and t test)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general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s to their menstrual disorders and pregnancy outcom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job stress was not associated with menstrual regularity, length of menses, cycle length, dysmenorrhea, and preterm delivery. While psychological job demand was more likely to increased risk of spontaneous abortion (OR : 4.11, 95% CI : 0.96-17.62), social support was more likely to decreased risk of spontaneous abortion (OR : 0.15, 95% CI: 0.02-0.81). This study suggests that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strategy at worksite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menstrual disorders and adverse outcome of pregnancy of female worke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여성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생리와 임신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와 공무원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ffect of job stress on menstrual function and pregnancy outcome in female worke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Myung Hw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