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2 943

Cited 0 times in

가정간호 시행병원 업무 실태 조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현미-
dc.date.accessioned2015-11-22T07:20:39Z-
dc.date.available2015-11-22T07:20:3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43-
dc.description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2001년 1월부터 병원중심 가정간호사업이 법제화하면서 의원 및 한방병원까지 확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1년 4월 30일까지 새로 등록한 28개 기관을 대상으로 가정간호 사업소의 구체적인 운영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확대 시행하는 데 있어 보다 더 효율적인 업무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1년 4월말 1, 2차 시범사업 이외의 가정간호 시행병원 가정간호사업소 전수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한 단면적 조사와 전화면접방법을 병행하였고 2001년 4월 30일부터 2001년 5 월 16일까지 27개 기관과 가정간호사업소 소속 간호사 50명을 현황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간호 시행 의료기관은 종합전문 요양기관 4개소, 종합병원 16개소, 의원 2개소이며,소속직은 간호부 소속이 22개 기관, 병원장 직속이 3개 기관, 진료부 소속은 2개 기관으로 나타났었다. 가정전문간호사 인력은 2명 이상 인원을 확보한 기관은 25개 기관 이였다.보조인력의 가정간호사업 참여는 의원의 1개 기관에서 홍보와 보조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가정간호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지원은 대부분이 각 환자 주치의에 의해 지원을 받고있었다. 가정간호 질 평가를 실시한 기관은 8개 기관이며 대상자 등록 기준 및 종결 기준 을 수립하고 자체 개발한 기관은 5개소이였다. 가정간호 수행시 문제점은 새로운 업무에 대한 어려움, 의사가 환자를 직접보지 않고 처방 받는 점이 있었다. 보완 방안은 질적 평가자료 및 표준화된 기준 자료, 시설, 장비, 전산, 홍보에 대한 적극적인 문제에 대한 보완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가정전문간호사 개개인의 노력 및 가정전문간호사협회, 의료기관, 정부 차원에서 의료기관 및 의료인과의 의뢰체계 확립, 입원 대체 서비스의 의료체계로서 의뢰체계 확립, 질적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관리, 시설 및 장비, 행정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 등의 준비가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정간호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참고자료를 제시되었으면 한다. [영문] In January 2001 legislation for hospital-centered home nursing service was expanded to include clinic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effective delivery of home nursing services. It was done by examining the 28 institutions providing home nursing which were newly registered up to April 30, 2001.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and telephone interview on home nursing service in these institutions. An analysis of the actual work of fifty home nurses from 27 hospitals or clinics was done between April 30, 2001 and May 16, 2001.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dical institutions providing home nursing service included four tertiary hospitals, 16 general hospitals, and two clinics. Home care was a part of the nursing departments in 22 institutions, a department under direct control of the hospital superintendent in three institutions, and the medical department in two institutions. There were 25 hospitals which employed more than two home nurses. In one hospital a public relations assistant supported the home nursing service. Doctors in charge of the patients provided technical support to home care nurses. Eight institutions had evaluated the quality of home nursing service and ten had established patient registration and discharge standards. Problems identified in home nursing: service were difficulties with new services and prescriptions without a doctor's examination. Strategi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included evaluation of quality, of care, standardized of data, facilities, personnel, and equipment, computerization, and public relat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In order to have effective home nursing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personal, nursing association, medical institution, and government resources to be fully utilized, that referrals between institutions be expanded, that increased resources be available for admission services, quality control, facilities, equipment and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development of adequate measures to vitalize home nursing servic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가정간호 시행병원 업무 실태 조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nursing services in hospital based home care departments : focusing on hospitals register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demonstration projects finished.-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Hyun Mi-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