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485

Cited 0 times in

임신 중 산모의 표현형(phenotype)특성이 임신성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화-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9:42Z-
dc.date.available2015-11-22T07:19:42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609-
dc.description역학 및 건강증진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에서는 1960년 이후 출생한 산모의 경우 경제적 소득 증가 등으로 임산부의 신장과 BMI(Body mass index)가 변화 된 것에 따른 임신성 당뇨병의 발현비율을 조사하고 연관성을 분석하여 자료를 제시함으로서 임신성 당뇨병의 관리와 예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1998년에서 2000년까지 임신성 당뇨병의 선별검사(50g 복용 후 1시간후에 혈당측정치, 정상치:130㎎/㎗이하) 후 분만한 임산부 18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타는 환자군(73명)과 대조군(675명)을 이용하여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분 산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에서 종속변수는 환자군으로 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산모의 신장으로 하였고 그 외에 혼란변수 등으로는 산모의 BMI(임신전), 체중증가, 연령 및 유전력으로 관련된 변수들을 보정 해 주었다. 각 변수에 따라 기술적 통계를 구하여 연구대상을 대조군과 환자군 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통계는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보면, 환자군과 각 변수들을 다변량분석한 결과 연령(p<0.05), BMI(p<0.001), 체중증가(p<0.001) 및 유전력(p<0.001) 등이 유의하게 나왔으며, 산모의 신장은 단위별(명목변수: 158㎝이상, 158㎝미만)작업과 연속형으로 통계작업을 했으나 환자군에 유의한 변 수로는 적용되지 못했다. 그 밖에 산모의 신장 외의 변수로 연령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비차비: 1.1)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산모의 BMI에서도 임신 전에 산모가 비만할수록 유병률(비차비: 1.141)이 높게 나왔다. 산모의 친부모가 당뇨병환자인 경우는 임신성 당뇨병에서도 일반당뇨병과 마찬가지로 높은 유병률(비차비:3.175)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체중증가에서는 산모의 체중변동 차이가 적을수록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비차비: 0.855)이 커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현상은 산모가 Oral GTT(glucose tolerance test, 2차 당뇨검사) 후 임신성 당뇨병으로 판정을 받게되면 식이요법 등으로 관리가 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결과만을 다루었으나 이를 바탕으로 1960년 이후에 출생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자녀들에 대한 당뇨병의 유병율과 유형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1980년대 이후의 산모들에 대한 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phenotyp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tature and the change of body mass index(BMI) and the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in Korean women.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862 pregnant women who were screened for GDM at the Pundang CHA hospital from 1998 to 2000. Twenty-nine pregnant women known to have diabetes mellitus, and 122 women who were not confirmed for GDM were excluded in statistical analysis. Data were extracted from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IS) and analyzed by ANOVA. The effect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on the prevalence of GDM was evalu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ge (p<0.05), BMI (p<0.001), weight gain (p<0.001), and genetic factor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GDM. However, maternal heigh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was anaiysed as a continuous or discrete variable. The odds ratio for GDM according to age and BMI were 1.1 and 1.141 respectively. Furthermore, women with GDM were older and heavier than the normal oral glucose tolerance test group. The pregnant women with parental history of diabetes mellitus had the higher prevalence of GDM. This finding is very similar to the other previous studies. We revailed that odds ratio was 3.175. However, weight gain of pregnant women was inversely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GDM. We suspected that the pregnant women with GDM might put themselves on restricted diets during the pregnant period after the confirm test. In conclusion, short stature appears to be not associated with GDM in Korean women born after 1960.-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임신 중 산모의 표현형(phenotype)특성이 임신성 당뇨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Investigation of the maternal phenotype character and onse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i Wh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