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754

Cited 0 times in

전신성 홍반성 낭창환자의 우울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경순-
dc.date.accessioned2015-11-22T07:16:44Z-
dc.date.available2015-11-22T07:16:4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7502-
dc.description보건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는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여러 장기의 결체조직 및 혈관에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함으로써 생명에 위협을 받는다. 최근 진단법과 치료기술의 발달로 장기적 생존율을 갖게 되면서 질환과정동안 지속적으로 위협하는 예측할 수 없는 증상과 경과로 인해 환자는 우울해지며, 이는 많은 경우에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들이 경험하는 우울과 질환과 관련하여 인지한 불확실성을 파악하여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1995년 4월 20일부터 5��19일까지 서울 C대 1개 부속병원 류마티스내과 루푸스클리닉에 등록된 입원 및 외래 여자 환자 4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우울측정을 위해 Beck이 개발한 우울측정도구(Beck Depression Inventory)를 한홍무 외 5인(1986)이 한국 표준화시킨 것을 사용하였으며,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Mishel이 개발한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척도(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를 번역,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질병경험에 관하여 심층면접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를 이용하였으며, 우울과 불확실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 변수들과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다. 질병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의 우울정도는 최소 2점에서 최대 31점까지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 15.8로 경한 우울상태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문항별로는 '건강에 대한 걱정', 불만족감', '피로감'에 대하여 높은 우울 반응을 보였다. 우울이 낮은 항목은 '앞날에 대한 낙담', '수면방해', '자살 시도' 였다. 2.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의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는 최소 34점에서 최대 90점까지로 평균 72.2이었다.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는 '나는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잘 모르겠다', '질병상태가 항상 변하기 때문에 잘 지내는 날도 있고 못 지내는 날도 있다', '나는 내 질병이 회복될지, 악화될지 확실히 모르겠다'에 대하여 높은 불확실성 반응을 보였다. 불확실성 정도가 낮은 항목은 '의사는 나에게 정확한 진단명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 '내가 받고 있는 치료의 목적을 분명히 안다' 이었다. 3. 대상자의 질병경험에 관한 면접 결과, 질병발생 이전에 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스트레스를 경험하였고, 그 내용은 대학입시의 실패, 부모의 이혼, 부모와의 갈등, 결혼문제로 인한 갈등, 시댁식구와의 갈등 및 직장생활의 시작과 업무의 과중이었다. 진단초기의 질병경험은 질병에 관한 지식의 부족과 경한 증상으로 인해 자신의 질병을 무감각, 담담하게 받아들였으나, 진단을 받고 난 후 질병경험은 증상의 특성상 신체상의 변화, 신체기능의 변화 등으로 인해 부정적 경험인 열등감, 절망감, 좌절감, 무력감, 불안, 우울 등 이 있었고, 심한 경우는 질환에 대한 불예측성으로 인해 자살의 충동까지 경험하였다. 이들이 장기간 투병하면서 도움이 된 요인으로는 가족, 환우회, 의료인, 성직자 등의 지지체계와 신앙이었다. [영문] The life of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SLE) is threatened by abnormal immunological responses which cause chronic inflammation in the connective tissues and vessels. Although there has been many developments recently diagnostic measurements and treatment skills, and survival rates for patients with SLE have increased, these patients suffer from depression and have uncertainty in illness, because of the unpredictability of the diseas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depression and uncertainty in illness in the patients with SLE understanding SLE patients. Th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in nursing interven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 to May 19, 1995 from 44 women patients who were enrolled in a Lupus Clinic in one teaching hospital. In order to measure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odified by Han Hong Mu at al.(1986) was used.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MUIS) was used to measure uncertainty in illness. To investigate emotional experiences and adaptation as diagnostic phases, an interview was done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AS, and content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from 2 points to 31 points, the mean score was 15.8 indicating that the subjects were in the state of mild depression. The most depressive highest score on the items was 1.14 points for 'worried about health', and the next items were 'dissatisfaction' and 'fatigue' in that order. 2. The range of the degree of uncertainty in illness was from 34 points to 90 points and the mean score was 72.2 Items with the most uncertain scores were 'I don't know to expect things will be done to me', 'I usually know if I'm going to have a good or bad day', 'It is not clear what is going to happen to me' and 'I am unsure if my illness is getting better or worse'.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was 'They have not given me a specific diagnosis'. 3.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howed that half of subjects experienced stress before the occurence of the disease. The reasons for stress were failure in the college entrance exams, parents divorce, conflict with parents, marrige problems, conflict with husband's family, starting a job, and heavy work. In the early diagnostic phase, they had little negative emotional distress, because of a knowledge deficit about the disease and because of mild sysmtoms. But after diagnosis, they experienced much emotional distress like feelings of inferiority, hopeless, helpless, anxiety and depression because of changes in body image, and physical func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전신성 홍반성 낭창환자의 우울과 불확실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Depression and uncertainty in the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802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u, Kyung S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