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827

Cited 0 times in

뇌하수체 선종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용구-
dc.date.accessioned2015-11-22T06:56:15Z-
dc.date.available2015-11-22T06:56:15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73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뇌하수체 선종은 전체 두 개강내 종양의 약 25%를 차지하는 (Laws등, 1983) 신경외과 영역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그 진단 및 치료 방법은 지난 20여년간 괄목할만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진단분야에서는 호르몬 방사면역학적 측정법, 고해상 뇌전산화 단층촬영이 개발되었고, 치료 분야에서는 내과적으로 bromocriptine등의 호르몬분비 조절약제의 개발과 방사선 치료, 외과적으로는 항생제의 발달, 수술현미경의 사용 및 image intensifier의 등장에 힘입어 경접형동 미세절제술이 손쉽고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게 되었다. 저자는 1977년 12월 1일부터 1985년 2월 28일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에 입원, CT scan을 시행하고 뇌하수체선종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한 96명의 환자에서 치료 전후의 신경학적, 내분비학적 및 방사선학적 소견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96명의 환자 중 남녀간의 발생빈도는 10대 9로 거의 비슷하였으나 prolactin분비선종 환자에서는 32대 19로 여자에서 현저히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비분비선종에서는 반대로 26대 6으로 남자에서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연령분포는 20대에서 40대까지가 86.5%를 차지하였고 20세전의 환자는 없었다. 2. 내분비학적 종양별 분포를 보면 prolactin 분비 선종이 53.1%로 가장 많았고 비분비선종이 33.3%로 다음으로 많았으며 성장호르몬 분비를 보인 환자 11명중 45.5%에서 proactin분비를, 9.%에서 성선호르몬 분비를 동시에 보였다. 3. 종양의 CT scan소견상 4명(4.2%)이 미세선종이었고 20.8%에서는 터어키안기저부의 심한 미란과 함께 supra & parasellar extension을 보이는 매우 큰 종양으로 비교적 종양이 큰 경우가 많았으며 20.8%에서 낭종을, 4.2%에서 종양내 혈종을, 3.1%에서 석회화를 보였다. 4. 수술전 64.6%에서 시력장애를 보였고 31.3%에서는 적어도 한쪽 눈이 실명에 가까운 심한 시력장애를 보였으며 치료후 84.9%의 호전율을 보였다. 5. Prolactin 분비선종을 가진 여자 환자중 61.9%에서 정상월경이 돌아왔고 2례(4.8%)에서 정상분만을 하였다. 6. 유즙누설은 1ː2.6으로 여자에서 많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70.59%에서 치료후 증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남녀간의 치료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7. 수술전 16.7%에서 뇨봉증이 있었고 전례에서 치료 후 호전되었으며 뇨봉증이 없던 환자 중 28.7%에서 수술 후 일시적인 뇨봉증이 발생하였으며 영구적인 례는 없었다. 8. 경접형등 미세절제술을 받았던 83명의 환자에서 1.2%의 수술사망율을 보였으며 재수술 등의 특별한 처치가 필요하거나 영구적인 결손이 남을 수 있는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7.2%로 경접형등 미세절제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9. TSA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직후 CT scan상 종양이 완전 제거되었거나 그 흔적만 보이는 경우가 40.7%였으며 48.2%에서는 종양으로 보이는 음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추적 CT scan검토 결과 그 음영의 상당량이 괴사된 조직, 혈종 혹은 packing material 등인 것으로 사료되었고, 음영이 남아있던 환자 중 75%에서 수술직후 현저한 신경학적 증상이 호전이 있어, 일단 신경학적 증상이 있거나 종양이 큰 환자는 즉시 수술적 가료를 받아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10.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하고 CT scan을 시행할 환자에서는 82.2%에서 종양이 거의 없어졌으며 2례에서만 종양이 더 커지거나 마찬가지였으며 그 외 전례에서 방사선 치료후 종양의 크기가 현저히 적어져, 수술후 방사선치료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11. 방사선 치료 후 종양은 1개월 이내에 작아지기 시작하며 약 2개월까지 작아지며 추적 CT scan은 치료종료후 약 2개월 후에 시행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Over the past 20 years, considerable advances have been made in the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s. But gross total removal of tumor demonstrable on the postoperative computerized tomography scan is uncommon after operation. The author presents a clinical analysis of 96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 who underwent preoperative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nd surgery with or without radiation therapy and bromocriptine administration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from December, 1977 to February, 1985. These patients were analyzed in terms of age, sex, preoperative symptoms and signs, size and extension of tumo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uterized tomographic findings, therapeutic methods, postoperative changes of symptoms and sign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ws: 1. The overall sex ratio was similar in men and women with ratio of 50:46. It was more prevalent in female with ratio of 19:32 in prolacin secreting adnoma, but in inactive adenoma, more prevalent in male with ratio o 26:6. 86.5% of patients were between age of 20 and 49. 2. The majority of patients harbored prolactin secreting tumors(53.1%) and 33.3% of patients had inactive adenomas. among 11 patients with growthhormone secreting adenoma, prolactinoma was combined in 5 patients(45.5%) and gonadotropin secreting adenoma in 1 patient(9.1%). 3. 4.2% of patients had microadenomas and 20.8% had diffuse sellar floor destruction and large suprasellar and parasellar extension. There were 20.8% of cystic tumor, 4.2T of hemorrhage in tumor and 3.1% of calcification examined with computerized tomography. 4. A properative visual deficit was present in 64.58% of patients. After treatment, improvement of vision was achieved in 84.9%. 5. After treatment, 61.9% of female prolactinoma patients with amenorrha or oligomenorrhea regained normal menstrual cycles. 6. Galactorrhea was more prevalent in women with ratio of 1:2.6 and improved after treatment in 70.6% of the patients. 7. Preoperative diabetes insipidus was present in 16.7% and all of them improved after treatment. There was transient diabetes insipidus in 28.7% after surgery and no permanent diabetes insididus. 8. Of the 83 patients who underwent transsphenoidal surgery, 1 patient(1.2%) expired due to surgical complication, intrasellar hemorrhage with suprasellar extension and 6.2% experienced major surgical complication. 9. After transsphenoidal surgery, postoperative immediate computerized tomography revealed total gross tumor removal or minimal residual tumor in 40.7% and in 48.2% there were residual tumor. But in follow-up CT scan before radiation therapy, marked shrinkage of the residual mass was noted, informing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residual mass might be necrotic tissue, hemorhage, or packing material. And 75% of those showed marked and immediate postoperative improvement of neurologic symptoms. These observations seem to indicate that pituitary tumor with neurologic deficit should be removed surgially as soon as possible. 10.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82.2% showed marked shrinkage of residual tumor with minimal or grossly absent tumor on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It indicate tha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s necessary to eradicate residual tumors. 11. The residual tumor began to shrink within a month and continued until two months after completion of radiation therapy. These observations seem to indicate that a proper time of follow-up CT scan is around two months after radiation therap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뇌하수체 선종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A) clinical analysi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96 cases with pituitary tumor-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578-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476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Yong Gou-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용구-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