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8 967

Cited 0 times in

슬개골 재발성 탈구의 관절경적 치료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재호-
dc.date.accessioned2015-11-22T06:44:06Z-
dc.date.available2015-11-22T06:44:0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290-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슬개골 재발성 탈구 또는 아탈구에 대한 치료 방법은 다양한 술식이 소개되어왔다. 그러나 수술 후의 정복 된 위치 외에 슬개골의 기울기 또는 슬관절 운동시 슬개골 궤도에 대한 수술 중 평가는 정확히 이뤄지지 못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슬개골 재발성 탈구 또는 아탈구에 대한 관절경적 수술 방법과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1991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슬개골 재발성 탈구 또는 아탈구에 대해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34 명의 환자 36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원인, 슬관절 내의 동반 병변을 조사하였고 방사선학적으로 슬개고위증(patella alta), 외반 슬, 대퇴 외과 발육 부전 등을 관찰하였다. 외측 및 내측으로 과도한 운동성을 보인 슬개골인 4례(11%)는 관절경적내측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습관성 탈구로 슬관절 외측 구축이 있던 1471(39%)는 관절경적 외측 이완술 과 내측지대 보강술로 슬개골의 위치, 기울기 그리고 슬관절 운동시 슬개골의 궤도를 정상화 시켰다 슬개골의 아탈구와 비정상적 기울기를 보인 1271(33%)는 외측 이완술 및 내측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관절경적 술식으로 정확한 궤도를 얻지 못하고 Q각이 20도 이상인 6례(17%)의 경우 Elmslie-Trillat 술식을 추가하였다. 34명(3671)의 대상 환자의 성별분포는 남자 9명 여자 25명이었다. 관절경적 수술 중 1177(31%)에서 동반된 골연골편 유리체가 관찰되었고,32례(89%)에서 연골연화증이 슬개골 또는 대퇴 외과에서 관찰되었으며 5례(14%)는 술전 또는 교정하는 관절경 술식 중 슬개 내측 추벽(medialpatella plica)이 관찰되었다. 5례의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 2례의 외측반월상 연골 손상, 2례의 외측 원판형 연골, 1례의 전방 십자 인대내의결절종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관절내 병변은 슬개골 탈구 또는 아탈구에 대한 술식과 동시에 치료하였다. Elmslie-Trillat 술식을 시행한 6례를 제외한 환자는 술후 3-4일에 슬개골 보조기 착용 후 관절 운동 및 대퇴 사두근 강화 운동을 허용하였다. 통증 소실 여부에 따라 체중 부하를 시작하여 술 후 4-5개월에 운동(sports)을 허락하였다. 술 후 평균 48.1개월(25-93개월) 추시 관찰상 3271(89%)에서 관절 운동범위가 정상이며 통증없이 운동이 가능하였다. 운동 범위가 신전 0도에서 골곡 120도로 제한된 환자가 3711(8%)였으며, 90도 이내의 관절 운동제한을 보인 환자가 1례 있었다. 이는 관절경적 유착제거술로 치료하였다. 1례는 추시 도중 다른 외상에 의해 재탈구 소견을 보여 관절경적 수술을 다시 시행하였다. 슬관절 재발성 탈구 또는 아탈구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는 슬개골의 위치를 직접 관절경으로 확인하며, 위치와 기울기, 궤도를 정확히 교정함으로 과교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관절 내부의 동반된 병변에 대한동시 치료가 가능하고 합병증이 적은 장점이 있다. 여성 환자의 경우 관절경 술식이 미용적으로 우수하다.관절경적 술식은 술 후 재활시기의 통증이 적고, 우수한 결과를 가져오는 술식으로 사료된다. [영문] Many surgical treatment for patella dislocation and subluxation have been introduced but there were no delicate description about the importance of patella tracking and tilting during arthroscopic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ults and benefit of arthroscopic medial reefing and lateral release operation with tracking and tilting surveillance. We review 36 cases patella subluxation and dislocation. Patients were examined clinically as well as radiologically. The average length of follow up was 48 months. 14 cases of recurrent dislocation with lateral tightness were treated by medial reefing and lateral release. 4 cases of hypermobil patella were treated by medial imbrication. 12 cases of subluxation or patella tilting were treated by lateral release with medial reefing. Despite arthroscopic operation ,there were 6 cases of maltracking with increased Q-angle which were treated by additional Elmslie-Trillat operation with arthroscopic tracking surveillance. We found 32 cases associated chondromalasia, 11 cases of osteochondral fragment, 5 cases medial patella plica syndrome on preoperation or during operation and other intraarticular problem. Which were treated by arthroscopically. The function were evaluated by Crosby and Insall criteria. 32 cases revealed excellent result,3 cases were good and 1 case was fair There were no iatrogenic medial patella plica syndrome or tilting. One case of recurrent dislocation and one case of limitation of motion less than 90 degrees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methods. The arthroscopic operation with suveillance of tracking and tilting during range of motion exercise bring consistent excellent result, low mobidity, cosmetic advantag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슬개골 재발성 탈구의 관절경적 치료-
dc.title.alternativeArthroscopic medical reefing for patella maltracking with tracking surveillance : 관절경적 내측 지대 보강술 및 외측 지대 이완술-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Jae H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