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27

Cited 0 times in

성인병 검진기관의 검진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Other Titles
 (The) health screening centre's factors affecting on the outcome of health screen program 
Authors
 박종석 
Issue Date
1999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보건 예방 사업 검진 기관의 성인병 검진 실태를 파악하고 1997년도 성인병 검 진 실적(1차 검진 수검자수, 2차 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검진기관 측면의 요인들을 검진기관의 일반적 현황, 시설 및 인원 현황, 검진실 운영방법, 검진 담 당의사의 특성, 검진시 의사의 진찰 특성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수검률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자 현재 검진기관으로 인정되어 있는 전국의 약 2290개 기관 중 무작위 추출 선정한 188개의 검진 기관을 대상으로 검진 행정 담당자와 검진 담당의사에게 설문 조사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조사 대상 검진기관의 치과 진찰실을 제외한 시설 (진찰실, 방사선과 촬영실, 탈의실, 대기실)의 전담률이 종합병원은 80%이상, 의원급은 50%, 보건소는 30% 이하의 전담률을 보이고 있었다. 신장, 체중계를 비롯한 신체 계측기는 의료기관의 80%이상에서 검진용으로 전담해서 사용하고 있었으며, 방사선 간접 촬영기, 심전도기를 제외한 검사 장비는 50%이하에서 검진용으로 전담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검진실 인력 현황은 검진기관당 의사 1.6명, 치과의사 0.6명, 간호사 2.7명, 임상병리기사 1.1명, 방사선과 기사1.3명, 원무직 1.8명, 기타 1.1명으로 총 10.8명이고, 이중 51%가 검진실에서 전담으로 근무하고

있었다. 종합병원의 약 60%에서 검진실을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검진을 실시하고 있으나 의원에서는 15%에서만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전체 대상기관의 68%에서 성인병 검진 유치를 위한 홍보를 실시하고 있었다. 1차 검진 결과를 조합에 통보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전체 응답기관의 70.6%에서 15일 이내이었다. 2차 검진인 경우는 73.4%가 15일 이내에 검진 결과를 통보하여 1차 검진 보다 다소 빠르게 통보하고 있었다. 성인병 검진시 1인당 총 소요되는 시간은 조사대상 전체 검진기관의 96.3%에서 1시간 이내이었다. 성인병 진찰시 의사에 의해서 시행되는 진찰 및 문진에 걸리는 시간은 97.2%에서 10분 이내였고 이중 74.3%에서는 5분 이내 였으며 이는 검진기관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한편, 조사 대상 전체 검진기관의 98%에서 의사가 진찰에 문진표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중 47.3%에서는 전부 이용하고 50.9%에서는 부분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2. 1995년부터 1997년까지의 조사대상 검진기관 전체적으로 3년간 의료 보험 건강 진단 성인병 검진 사업 1차 검진 수검자 수는 검진기관당 1995년 이후 증가하였으며 검진기관당 성인병 1차 검진수는 종합병원에서 다른 검진기관에서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2차 검진 수검률은 1998년에 1997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병원급에서 2차 수검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3. 1997년도 성인병 검진 1차 수검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검진 기관 요인 분석시 검진 기관 종별, 독자적 검진실을 갖추고 검진실을 운영하는 경우, 시설이 한 장소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진찰실, 방사선진찰실, 탈의실, 대기실 등 검진 시설이 성인병 검진실 전담으

로 있는 경우, 검진실 담당 인원의수가 증가하는 경우에서 1차 검진 수검자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성인병 1차 검진 수검자수 결정요인으로 검진기관이 종합병원인 경우, 검진실 담당 총 인원수, 검진 담당 의사의 검진실 전담률이 높은 경우, 안내표지판을 설치하는

경우, 검진시간이 오래 걸린 경우를 설정할수 있었다 이러한 변수를 포함하여 검진기관의 일반적 현황, 시설 및 인원 현황, 검진실 운영 방법, 검진 의사의 일반적 특성 및 진찰 특성등 모든 자료를 포함하는 다중 회귀계수모형은 1차 검진 수검자수의 요인을 약 64% 설명할 수 있었다.

4. 1997년도 성인병 검진 2차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검진 기관 요인 분석시 2차 검진 대상 수검자에게 1차 연락후 무반응 자에게 연락을 자주 하는 경우(3회이상), 진찰 및 문진에 걸리는 시간이 짧을 수록 2차 검진 수검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학적 검사를 하는 경우, 수검항목 이외의 진료문제가 발생시 검진과 동시에 해당문제에 대하여 진료를 하는 경우에 수검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인 검진기관의 일반적 현황, 시설 및 인원 현황, 검진실 운영방법으로 다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2차 검진 대상자에게 2차 검진 통보 연락을 자주 할수록(적극성) 수검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결정요인으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모형은 2차 검진 수검률을 약 42%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성인병 검진실을 독립적으로 운영하며 시설을 성인병 검진 전담으로 집중시키고 충분한 검진 인력을 확보하고 안내 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수검자의 편이를 돕고 2차 검진 대상자에게는 빠르게 통보를 하고 충분한 문진과 필요한 경우 이학적 검사등 진찰을 하는 것이 수검률을 향상 시킬 것으로 사료되며 제도적으로도 검진기관이 이러한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is aimed at estimating the state of medical insurance periodic health screening program conducted by health screening centers and at analyzing the factors of health screening center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the outcome of health screening program against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 1997 . It seeks

to promote the rate of participation of recipients in the examination and analyze, by virtue of SPSS statistic programs, the questionaries derived from administrators or doctors in charge of health screening who work at randomly sampled 188 health examination facilities out of total 2290 nationwide centers.

1. For three years from 1995 to 1997, there were more examinees who were checked up in sampled health screening centers in 1997 than past years. and in this period, the general hospitals had more examinees than other sized hospitals did.. The rate of secondary examination after initial health examination, especially in general hospital, has increased in 1998 compared to 1997.

2. The number of primary health examinee is well related to the kind of health facilities, independent and well organized diagnostic equipments, sufficient and specialized work force. In multiple regression model, which was supposed to be determined by when the examination facility is a general hospital, sufficient and specialized work force, enough examination time allocation, and even considerate guidance.

3.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rate of secondary examination are considered as follows; when the organization notifies examinees frequently after he or she does not respond to the first call, when the shorter time was needed for examinees to line up for check-up, and when extra problems were immediately examined as soon as they are found. When the rate of further evaluation after primary check-up was analyzed b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hich was supposed to be determined by the frequently notification to the examinees.

In conclusion, the independent, specialized and well organized equipments of health screening with sufficient work force and considerate services and rapid, frequently notification to the examinees would promote the ratio of health screening, and this model should be enforced by current health screening centers in

national health care system.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12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