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822

Cited 0 times in

급성 Type I 대동맥 박리증에서 수술후 가강의 변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교준-
dc.date.accessioned2015-11-22T06:36:46Z-
dc.date.available2015-11-22T06:36:46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602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급성 대동맥박리증은 응급 인조혈관 치환술을 시행하나, 상하행 흉부대동맥으로 광범위하게 박리된 DeBakey type I인 경우에는 수술후 가강(false lumen)이 잔존하게 된다. 수술 후 가강은 혈종으로 대치되거나 완전 소멸되기도 하지만, 재진입(reentry)이 있으면 혈류가 잔존하고 대동맥이 확장되는 대동맥류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 전산화단층찰영(CT) 소견과 수술 후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잔존한 하행 흥부 및 복부 대동맥 가강의 변화양상을 규명하고, 가강의 악화에 관여하는 위험 요인과 수술적 치료 시기를 조기에 결정할 수 있는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다. 1952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심장혈관센터에서 급성 type I 대동맥 박리증으로 진단받고 응급 인조혈관 치환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42례이며, 이 중 수술사망 677(수술사망율 14.3%)를 제외한 36례 중 수술전후 흉복부 CT의 비교가 가능한 22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비는 남자가 13례, 여자는 9례였고, 평균 연령은 48.4±14.8세(21-68세)였다. 수술전 병력은 고혈압이 13례, 대동맥륜대동맥확장(annuloaortic ectasia) 7례 및 Marfan씨 중후 군 4례가 있었으며, 수술전 기계판막으로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받고 항응고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1례가 있었다. 수술 방법은 상행 대동맥만을 치환한7례, 상행 대동맥과 대동맥궁을 동시에 치환한 4례, Bentall 술식 9례 및 Bentall술식과 함에 대동맥궁을 치환한 2례가 있었다. 수술후 Bentall 술식을 시행받은 11례와 수술전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받은 1례는 추적 CT촬영시에도 항응고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2주에서 64개월까지 17.2±12.8개월이었다. 수술전후 CT에서 우폐동맥의 단면(a), 좌측 횡격막 단면(b) 및 좌신동맥직하 단면(c) 등 세 부위의 하행 대동맥에서 가강 및 진강의 조영제 변화를 조사하였고, 가강이 발생한 방향의 대동맥의 직경(D)과 그 중 가강의 직경(F)을 측정하여, 가강 비율(F/l))을 구하였다. 그리고, 수술전후 가강의 변화 양상과 수술전위험요인과의 관계를 조사하였고, 수술 방법에 따른 차이 및 수술후 항응고제 사용 유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수술전 가강의 일부에 혈종이 보였던 4례중 2례에서 수술후 가강이 소멸되었고, 2례는 변화가 없었다. 수술전 가강에 혈종이 없었던 18례중 17례의 세 부위 변화는 다양하였고, 나머지 1례는 병변이 복부 대동맥까지 진행하지 않았던 경우로 수술 후 가강이 모두 소멸되었다. a 부위에서는 수술 전 가강에 혈종이 없었던 19례중 고혈압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동반한 경우보다 수술 후 가강에 혈종이 생기거나 가강이 소멸되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이 중 수술 후 혈종이 형성된 13례의 F/D 비율이 수술전77.2±11.7%에서 수술 후 61.6±14.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강 비율이 감소하였다. b 부위에서는 혈종이 형성되는 양상이 다양하였으며, 연령이 젊을수록 수술 후 가강 자체의 크기(F)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 부위에서는 수술 전 가강에 혈종이 보이지 않았던 16례 모두 수술 후에도 전혀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F/D 비율은 수술 전 65.3±16.5%에서 수술 후 65.7±1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급성 type I 대동맥 박리증의 수술 후 잔존하는 가강은 흥부 대동맥 부위에서는 혈종으로 대체되면서 그 크기가 감소하지만, 혈류가 잔존하는 경우엔 가강의 확장에 따른 흉복부 대동맥 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특히 고혈압이 있거나 연령이 젊은 환자에서 흥부 대동맥의 가강이 커지는 경우에는 철저한 수술 후 추적 검사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Emergency prosthetic vascular graft replacement is indicated in acute aortic dissection. In DeBakey type I lesions which extensively involv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thoracic aorta, the false lumen may remain postoperatively. The false lumen may either become occluded by thrombus or disappear completely, but if a reentry is present, residual blood flow may persist and lead to progressive aortic aneurysmal dilat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predicting the dilatation of the false lumen and the timing for early surgical intervention by defining the residual false lumen changes in the descending thoracic and abdominal aorta based o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T findings.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7, emergency prosthetic aortic graft replacement was performed in 42 patients of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at the Cardiovascula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mong 42 patients, 22 of the36 survivors in whom both the pre- and the postoperative CT findings were available, were selected in the present study. There were 13 males and 9 females, with a mean age of 48.4±14.8 years ranging in age from 21 to 68 years. Preoperatively, 13 had hypertension, 7 had annuloaortic ectasia, 4 had Marfan's syndrome, and one patient was on chronic anticoagulation due to prior mechan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The surgical procedures comprised ascending aorta replacement only in 7 cases, ascending aorta with arch replacement in 4, the Bentall procedure only in 9 cases, and the Bentall procedure with arch replacement in 2 cases. In 11 patients with Bentall procedure and in one patient on preoperative anticoagulation for the prior aortic valve replacement, wafarin was given for anticoagulation at the time of CT follow up.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7.2±12.8 months. The dye changes in the true and false lumens were assessed with pre and postoperative CT axial view evaluation at the level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a), the left hemidiaphragm(b), and just below the left renal artery(c).Measurements of the aortic diameter(0) and the diameter of the false lumen(F)were used to calculate the 1false lumen ratio(F/D). The effects of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on the postoperative false luminal change were assessed. In results, complete closure of the false lumen was shown in 2 of the 4 patients with preoperative partial false lumen thrombosis. Among 18 patients without any false lumen thrombosis preoperatively, 17 showed variable CT findings at the three reference levels, but in one patient whose lesion did not involve the abdominal aorta. In this patient, the false lumen was completely closed postoperatively. In level a, 19 patients without preoperative false lumen thrombo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incidence of false lumen thrombosis or obliteration in those without hypertension than those with hypertension. In addition, in 13 of these patients with postoperative false lumen thrombo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D ratio from 77.2±11.7% preoperatively to 61.6±14.2% postoperatively. At level b, clot formation was more variable, and the greater increase in the postoperativefalse lumen size(F) in the younger pati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ison at the cut-off age of 40 years showed the identical results, At level c, the false lumen size of all 16 patients without preoperative false lumen thrombosis stayed the same postoperatively, The change in the preoperative F/D ratio of 65.3±16.5% to the Postoperative ratio of 65.7±11.5%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the surgery of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F/ID ratio due to false lumen thrombus formation of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However, in the presence of residual blood flow, the risk of thoracoabdominal aortic rupture exists with progressive false lumen dilatation. Therefore, a thorough postoperative follow-up examination is required especially in the hypertensive patients or those that fall in the younger age group.-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급성 Type I 대동맥 박리증에서 수술후 가강의 변화-
dc.title.alternativePostoperative changes of false lumen in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49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yo J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흉부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