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47

Cited 0 times in

동서의학의 협력을 위한 기술적·정책적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기완-
dc.date.accessioned2015-11-22T06:34:02Z-
dc.date.available2015-11-22T06:34:0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922-
dc.description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오늘날 한국의 의료체계는 서양의료체계와 한방의료체계의 갈등적 공존으로 특징지워질수 있다. 이는 서양의학 제도가 수용되어 사회의 주류의학으로 정착되는 과정과 전통적인한방의료가 말살위기에서 벗어나 계승되는 과정이 동시에 전개되며 서로의 의학은 서로의학문에 대하여 무관심 내지는 불신과 반목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국 의료 체계의 주류의학인 근대 서양의학의 철학적 토대는 Descartes의 철학과 Newton의 고전물리학적 사고의 영향으로 육체와 정신이 분리 된 이원론적이며 기계론적 생명관이라고 불리우는 생의학적 모델로 분자생물학을 과학적 신조로 삼고 있다. 그러나 생의학적 모델의 기반인 기계론적 생명관은 더 이상 이 세상을 지배할 수 없게 되었고 대신 옴살스럽고 생태적인 아주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신과학운동, 시스템적인 세계관, 전일적이고 역동적인 세계관, 유기체적 세계관이 오늘날 경제,사회에서부터 의학 및 보건학분야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생의학적 모델의 대안모델로 사회, 환경적 모델을 강조한다. 서구에서는 자연요법의학, 대체의학, 보완의학과 동양에서는 한국의 한의학을 비롯한 각나라의 전통의학이 새로운 시대의 의학으로 떠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향상되고 인구의 노령화, 사회복지지향 등으로의료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보건의료의 개념은 질병 퇴치를 위한 의료개념에서 종합적인 건강관리개념으로 옮겨지며 국민들의 의료욕구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의료체계는 양·한방 이원화 체계를 아무런 변화없이 계속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자들에게 양·한방 병행진료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진료를 받을 기회가 보장되지 않고 있어 현재의 의료이원화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의학의 목적은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며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같은 의학의 공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 있어 서양의학적 접근방법과 동양의학적 접근방법에 서로 중첩되는 공통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된다. 바로 이 부분이 동서의학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고 나아가서 새로운 21세기 미래 한국의학의 탄생을 예고하는 것이다. 보건의료계에서도 세계각국과 WHO의 전통의학에 대한 관심과 NIH의 OAM의 대체의학 및 자연요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추세를 보더라도 앞으로 경제전쟁 및 기술전쟁의 시대를 맞아 선발 선진국을 압도할 경쟁력과 기술개발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현 시대에 그들로 부터 비롯되지 않은 원천기술의 확보가 절실하다. 그러므로 한의학의 지혜를 바탕으로 현대적으로 재정립된 국제적 의료기술에 의한 서구의료시장의 공략을 위하여 바람직한 동서의학의 협력가능성을 모색하여 미래의 한국의학(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을 포함한 의학)을 수출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통일이 된 후 우리가 건설해야 할 한민족 보건의료제도의 청사진을 준비하기 위한 전 단계로 서로 동서의학의 협력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서의학이 보유하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 좋은 의료내용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도를 통한 힘의 논리에 의한 물리적 결합보다는 본질적인 문제에서부터 교류의 형태를 취해야 한다. 그러므로 두 의학의 언어가 내포하고 있는 개념을 접근시키고, 두 의학의 동일질병에 대한 인식체계의 규율을 세우며, 질병의 성질과 완급에 따라 두 의학이 분담할 부분을 세우는 이원적 일원체계의 협진 구도가 적합하다. 특히 사회환경적 모델 속에 정신·신체의학, 건강증진분야, 노인병분야에서 서로의 학문에 대해 편견이 없고각 질환별 양쪽 전문의들이 모여 1차 협진 한계영역을 작성하고 두 의료체계가 잘 갖추어진 양·한방 1차 가정의원이나 병원 등에서 1차의 내용을임상적용하고 Clinical Trial 작업을 통해 검증 평가한 후 협진 표준형태 교과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보건복지부 내에 장래 동서의학협진과 관련된 의료제도를 연구하는 전문기구를 두어 그 동안에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내용과 교육자의 양성을 추진하며 동시에 국내에 적용할 가장 합리적인 의료제도를 수립한다. 또한 효과적인 동서의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동서협진 병원의 건립이 절실하며 특히 1차진료의 양·한방 공중보건의 공유부문의료와 양·한 방 가정의학의 공유부문의료에 있어 세율적 혜택 및 법적 제도적 권장이 필요하고 국립 동서의학연구소의 설립과 의과대학의 한의학강좌개설, 의대와 한의대의 입학 및 편입제도개선, 동서의학전문대학원의 설립, 동서의학 협진에 따른 보험내용의 전환 및 협진을 검토하기 위한 의료심사체계 구축과 컴퓨터 지원 시스템 개발 등이 필요하다. [영문] Nowadays Korean medical system has been characterized by the discordant coexistence between east and west medicine. There had been indifference, disbelief and antagonism between the two continuously while the western medical system was accommodated and fixed as a main social medicine and the unconventional east medical treatment was succeeded passing through the crisis of obliteration at the same time. The main current of Korean medical system was influenced by modern West medical science based upon that of Descartes and Newton's classic-physical thought. It makes molecular biology a principle of science. Molecular biology has a dual and mechanical view of life. But mechanical view of life which is a base of biomedical model has not dominated the society any more, instead, a new holistic and ecological sight is needed. Recently the new science movement and systematic, whole-minded, organic view of the world have an important effect to economics, society, medical science and the health. An alternative ecological model emphasizes on the society and environment. Each nation comes up with new circumstances of medical science, for example, the west has Natural medicine, Alternative medicine, Complementary medicine, the east has unconventional medicine including Korean medicine, Chinese medicine, Ayurvedic medicine etc. Korean society has been changed to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 also to increased elderly population, better social welfare and higher demand of medical treatments. The concept of medicine is changed to synthetic health care from disease elimination, and people want variety of medical treatments. But Korean society continued to maintain dual system of east and west medicine without any change. From the people's standpoint, current dual medical system showed many problems to consumers, because they have no guarantee of effective health care delivery and treatment by east and west medicine in coordinated manner. The purpose of medical science is to promote health, to prevent disease and to cure a patients. Therefore, we understand the process of achieving this purpose of medical science ha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east and west medical approach This suggests us the possibility of east and west medical cooperation and announces a birth of new Korean medicine in the 21st scentury. While WHO takes an interest in unconventional medicine and NIH's OAM's alternative medicine as well as natural therapies and studies them increasingly, our medical institutes of health should secure a source of technology which is not originated from the developed country. Because the age of economic and technical battle in the future will require us competitive power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overwhelm the developed country. Therefore, we have to pursue a way of cooperation between east and west medicine on the basis of the wisdom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o that we can challenge western medical market. Furthermore cooperation of east with west medicine is urgently needed because we should prepare a master plan of health care system before reunification of Korea.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ine by combining the strong point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a way of academic exchange should be available. It requires a new concept of approach in terms of medical terminology, understanding the disease entities, and the principles of diagnoses and treatments. There should not be any preoccupied prejudice against each other in the field of biopschosocial medicine and health promotion, and th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both eastern and western medicine should open their mind in trying their counterparts way of evalu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The next step might include preparation of standard textbook on east and west medicine, setting up a specialized bureau(or office) of east and west medicine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ing the training centers for educators of east-west medicine, and establishment of new policies o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Eventually we will need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ng medical centers for east and west medicine, public health centers of new concept, new payment systems of medical bills and taxes, new medico-legal systems. new curricula of east and west medicine in medical colleges, admission and transfer system of medical students between east and west medical colleges, graduate school of east and west medicine, legal monitoring and inspecting system on medicine, and computerization of overall medical system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동서의학의 협력을 위한 기술적·정책적 방안-
dc.title.alternativePolicy and plan on integration of east and west medicin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Ki W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