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45

Cited 0 times in

공중근무자의 요통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미선-
dc.date.accessioned2015-11-22T06:33:15Z-
dc.date.available2015-11-22T06:33:15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893-
dc.description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공중근무자의 요통발병 현황을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직업적 특성, 신체행위 특성, 피로증상, 직무만족 및 스트레스점수와 요통 유무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근무환경 개선과 요통의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을 단순무작위방법으로 500명을 전수 조사 하였다. 조사방법은 조사목적을 위해 고안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측정하여 327매(65.4%)를 회수하였고 이중에 276매(55.2%)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1998년 4월 15일부터 5월 9일까지 이었다. 사용된 분석방법은 SAS를 이용하여 χ**2-검정, t-검정, 1요인분산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이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중근무자의 요통발병 현황을 보면 276명중 64.9%(179명)이고, 승무원이 77.1%, 조종사A(민항기)가 50.0%, 조종사B(전투기)는 52.2%이었다. 2. 요통의 원인은 승무원 중 72.2%가 "물건 들기"이었고, 조종사A의 53.9%가 "장시간 앉기"이었으며, 조종사B중 52.9%가 "장시간 앉기와 교육훈련"이었다. 3. 각 집단간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연령, 신장과 체중은 정상군과 요통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각 집단간의 직업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월평균 공중근무시간, 총비행시간, 월휴식시간 및 근무년수는 정상군과 요통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각 집단간의 신체행위 특성을 비교한 결과, 승무원과 조종사B는 요통군에서 허리를 구부려서 일하는 작업자세가 유의하게 많았고(p<0.05), 조종사A는 요통군에서 작업의자가 불편한 경우와 구부려서 일하는 작업자세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그러나 각 집단간의 정상군과 요통군간의 진동, 소음 및 운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각 집단간의 피로증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승무원은 요통군에서 신체증상을 많이 호소하였고(p<0.05), 조종사B는 요통군에서 신체증상과 신경감각적 증상을 많이 호소하였다(p<0.01). 그러나 조종사A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각 집단간의 직무만족도와 업무관련성 스트레스점수를 비교한 결과, 세 집단 중에서 승무원이 요통군에서 유의하게 만족도가 낮았으며(p<0.05), 조종사A와 조종사B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정상군과 요통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8. 요통유무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을 한 결과 승무원은 만족도가 1점 높아짐에 따라 요통이 발생할 비차비는 0.8배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조종사A와 조종사B에서는 작업자세와 스트레스가 다중회귀분석모형에 적합하였는데 작업자세에서 허리를 구 부려서 일하는 조종사가 허리를 펴서 일하는 조종사에 비해 요통이 발생할 위험이 1.4배(조종사A), 4.9배(조종사B)이었으며, 스트레스점수가 1점 높아짐에 따라 상대위험도는 14.1배(조종사A), 4.9배(조종사B)로 높았다. 이 연구에 의하면 직업의 종류와 근무 환경에 따라 요통이 발병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은 의자를 사용하거나 좋지 않은 습관적 자세, 피로나 그 밖의 요인에서 기인하는 스트레스로 인해 요통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요통의 관리를 위해서는 요추를 적절하게 지지해 줄 수 있는 의자의 설치, 충분한 휴식시간의 제공 및 올바른 신체사용 원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of low back pain in civil airmen who usually work in standing and sitting position and to use this information as basis for the back rehabilitation. The study was done by analyzing general, occupational and physical factors as well a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stress of the study subjec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276 civil airmen who had been employed at 4 airports in Seoul. This information was gathered between April 15, 1998 and Mav 9, 1998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aires. These data were analyzed by χ**2, t-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low back pain among 276 civil airmen was 64.9%. The prevalence for stewardess(77.1%) was higher than that of aircrew A-passenger plane(50.0%) and aircrew B-fighter plane (52.2%). 2. The most common cause of low back pain was load lifting(stewardess), long sitting(aircrew A), and long sitting plus training(aircrew B). 3.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age, height, body weight and low back pain. 4. On the relationship of back pain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the average monthly working time, total working time, average monthly rest time, working year and low back pain. 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bnormal posture and low back pain(p<0.01). But vibration, noise and exercise did not appear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low back pain. 6.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low back pain in aircrew A.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low back pain among stewardess and aircrew B. 7.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related stress(p<0.05). 8. In stewardess higher, satisfaction score was associated with less likelihood of low back pain(odds ratio=0.80). Those working in bending position had height risk 0.R.=1.4:1 in aircrew A and 0.R.=4.9 in aircrew B. With increase of 1 point in stress score the likelihood of low back pain increased significantly(0.R.= 1.42 in aircrew A, 0.R.=1.52 in aircrew B).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ivil airmen developed chronicity of low back pain due to unfit seat, poor habitual posture, fatigue symptom and stress or other risk factor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e, sufficient amount of rest a seat that supports lumbar spine properly, and provision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including proper body mechanics for the prevention of posture related low back pai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공중근무자의 요통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risks factor related to low back pain in civil airme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0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eong, Mee S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