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22

Cited 0 times in

한 인공조화기의 설치 유무에 따른 실내 부유분진 농도비교 사례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승찬-
dc.date.accessioned2015-11-22T06:25:52Z-
dc.date.available2015-11-22T06:25:5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627-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도시생활을 하는 현대인 대다수는 하루 일과중 80%이상이 건물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건물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실내 공기의 오염으로 인한 영향이 크다. 최근 들어 건축물의 형태는 에너지절감과 건축물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과거 자연환기형건물에서 공조기(AHU)를 이용한 인공환기형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실내공기 오염은 내부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원인을 끼쳐 빌딩신드롬(SBS)과 같은 증상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내공기의 오염원인중 이 연구에서는 실내부유분진(PM10이하)이 환기방식에 따라 분포하는 차이가 존재 하는지 알아보고,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여부와, 그 차이의 발생원인과 대책에 관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두가지 환기System 건축물의 동일층에서 하루 일과 시간에 측정하였고, 각 측정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4회 반복 측정하는 본 측정을 진행하였고, 본 측정후 원인 분석을 위해 실내 위치(높이)에 따른 2차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측정 조사한 부유분진의 입경분포중 0∼0.5㎛, 0.5∼l㎛, 1∼2㎛의 미세먼지분포는 인공환기형 건물에서 낮게 나타났다. 측정 조사한 부유분진의 입경분포중 5∼10㎛의 조대먼지분포가 자연환기형건물에서 낮게 나타났다. 두건물의 측정값에서 미세먼지의 분포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조대먼지의 분포가 자연환기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은 조대먼지가 인공환기형건물 내부에 잔류 축적됨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환기 System의 차이에 따라 건물내에 분포하고 부유분진의 분포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Many modern people in cities live in building over 80% in their one day. They who live in indoor building have been affected by indoor air pollution Building style in recent years is being changed to the building man-made ventilation with AHU from the building with past natural ventilation for the effective use and the saving energy. Indoor air pollution gives directly SBS(Sick Building Syndrome) to the people who work in a building. Among the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this study is to finded that indoor suspended particles have (bellow PM10) the difference of distribution in size along the ventilation type and then the difference has a value as data and what is the cause and result for the difference of generation. This purpose of study took the measurement of the size range for working time in building with the two ventilation system. This measurement was taken four time in a place for the accurate data the second measurement was taken for the analysis of cause along the indoor height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fine particles(0∼0.5㎛, 0.5∼1㎛, 1∼2㎛) among the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les which was measured has small value in the man-made ventilation building. The distribution of large particles(5∼10㎛) had small value in the natural ventilation buildings. With two measuring values we find that the building with man-made ventilation have much large particles and small fine particles and the cause is whether the particles in indoor is accumulated indoor or not pass outdoor. With above things, we know the two different ventilation systems have different distribution in suspended particle size indoo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 인공조화기의 설치 유무에 따른 실내 부유분진 농도비교 사례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indoor suspended particles size along ventilation method-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96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ong, Seung Ch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