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88

Cited 0 times in

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 및 행동과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연희-
dc.date.accessioned2015-11-22T06:25:40Z-
dc.date.available2015-11-22T06:25:40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620-
dc.description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행동(실천행위) 및 사회인구학적인 요인이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과천초등학교 4, 5학년 어린이 440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진을 시행하였다. 과천초등학교를 통하여 구강검진 대상자의 어머니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개별자기기입식으로 조사, 회수하였다. 응답자는 329명으로 74.8%의 응답률을 나타내었으며, 불소와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 자녀의 구강질병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의 인지정도, 칫솔질횟수, 예방목적의 치과방문수, 자녀의 구강 건강을 위한 실천방법들, 연령, 직업,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 2주후에 2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종속변수는 자녀의 구강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우식경험영구치면수이며 독립변수의 수준에 따라 나뉜 집단과 우식경험영구치면의 유, 무에 의한 집단간의 관련성은 카이제곱검정 (χ2-test / Fisher's exact test)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행동간의 관련성 역시 카이제곱검정 (χ2-test/ Fisher's exact test)을 시행하였고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다요인에 대한 통제를 위해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치주질환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가 우식치면을 가질 위험은 감소하였다. 즉 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수준이 높으면 자녀의 치아우식증은 예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상악 교합면의 형태가 중간(middle)인 경우는 얕은(shallow) 경우보다 우식발생 위험이 3.4배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악 교합면 형태에서는 깊은(deep) 집단이 얕은 집단보다 우식발생을 경험할 위험이 2.4배 높았으나 유의하진 않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향(p=0.099)을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는 불소의 역할과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은 알고 있지못하였다. 어머니가 자녀의 구강질병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인지정도를 5점척도(1:매우 효과적, 5:전혀 효과없다)로 측정한 결과, 정기적인 치과방문이 1.79, 당분섭취의 제한이 2.04, 치아홈메우기 2.13, 전문가 불소도포 2.35, 불소치약 2.46, 불소양치액 사용 2.53, 불소화 수돗물 먹기 2.60, 적어도 하루에 한번 치실 사용 2.65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구강건강행동 변수와 사회인구학적인 요인 중 자녀의 우식발생경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어머니의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2.5회(median:2)이며 본인의 연평균 예방목적 치과방문수는 0.5회(median:0)였다. 어머니가 자녀에게 구강 건강을 위해 중요성 교육, 칫솔질 지도 및 당분섭취제한을 자주 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네째, 우식경험영구치면수가 1이상인 집단내에서는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를 위한 치과방문을 자주할수록 우식치면을 모두 충전한 집단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how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practice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dental health status. Children of grade 4 and 5 were selected at Kwachun elementary school. The total number was 440. The response mothers of them were 329 by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by oral examination on children and questionnaire survey on their mothers in May and November in 1997. Independent variables were mother's knowledge and practices on oral health, sociodemographic factors. Dependent variable was DMF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thers' knowledge about periodontal disea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ccurrence of children's DMFS. It supports that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playe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children's oral disease. The middle group of morphology score in maxilla first molar had higher risk of dental caries than the shallow one. The odds ratio was 3.4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dds ratio of the deep group in mandible first molar was 2.1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99). 2. Mothers probably didn't know concretely about the role and effect of fluoride. Mothers' ratings of effectiveness of methods to prevent children's tooth decay(1 : very effective, 5 : not effective) were revealed ordinarily regular dental visit, reducing intake of sugared foods, pit and fissure sealants, fluoride application at a dental office, brush of fluoride toothpaste and so forth. 3.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of mothers' practice which affected on children's DMFS. So were sociodemographic factors. 4. According to mothers' higher education level and more frequent dental visit for children, the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se decayed surfaces have been filled completely was increased in 'yes' group of DMF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어머니의 구강건강지식 및 행동과 자녀의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dc.title.alternativeChidren's dental health status in relation to their mother's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Youn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