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 2291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국제신체활동설문도구로 측정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Other Titles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uthors
 김소영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형 삶의 질 가중치 모형을 바탕으로 신체활동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호관련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신체활동 장려와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파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07년과 2008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10,412명의 피조사자들 중 설문응답이 부실한 723명을 제외한 9,6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신체활동도를 포함한 건강행태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해 각 변수간의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국제 신체활동설문도구에 의해 분류된 신체활동도는 비활동 그룹 75.3%, 최소한의 활동 그룹 23.5%, 건강증진형 활동 그룹 1.2%이고, 신체활동을 MET으로 환산한 결과 354.68±588.255 MET(min/week)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주택소유여부, 가구소득, 직업, 음주, 현재 흡연여부, 신체활동도,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인지, 우울증상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활동도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보정한 후 신체활동을 하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보건복지정책 수립이나 지역사회 수준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시행할 때에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도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42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2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