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7 496

Cited 0 times in

Phenylephrine이 rocuronium의 발현시간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원영주-
dc.date.accessioned2015-11-21T07:42:41Z-
dc.date.available2015-11-21T07:42:41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95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서론: 마취 유도시 rocuronium의 발현시간을 단축시킬 목적으로 ephedrine을 전처치하는데, 이는 ephedrine이 β-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심박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근혈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그 기전으로 생각된다. 한편 ephedrine에 의하여 α-아드레날린 수용체가 흥분되어 혈관이 수축됨으로써 혈압이 증가되는 또 하나의 ephedrine 작용이 rocuronium 발현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opofol로 마취유도를 하는 성인 환자에서 선택적 α-아드레날린 촉진제인 phenylephrine을 전처치하여 α-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자극이 rocuronium의 발현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재료 및 방법: 성인 남녀 64명을 대상으로 phenylephrine을 전처치하는 군과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는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마취유도를 위해서 fentanyl (2 ㎍?㎏-1)을 정주하고 엄지모음근에서 근가속도의 대조 단순연축을 얻고 지속적으로 기록하였다. Phenylephrine 0.9 ㎍?㎏-1이나 동일한 부피의 생리식염수를 정주하고 마취유도를 위해 propofol (2 ㎎?㎏-1)을 정주하였다. 40초 후에 기관삽관 용량으로 rocuronium 0.6 ㎎?㎏-1를 정주하였다. 발현시간은 rocuronium 정주 완료 시점에서 연축 높이가 0%가 되거나, 최대억제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기록하고, 이 때 기관 내 삽관을 시도하였다. 기관 내 삽관 조건을 기록하였으며, 마취 유지는 sevoflurane 2-2.5 vol% 내외의 흡입농도로 하였다. Rocuronium의 작용지속시간은 최대억제 시점부터 사연속 자극(TOF)의 첫번째 반응이 10%로 회복되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마취 유도 전, 삽관 직전, 삽관 직후 및 삽관 후 1분과 2분에 평균 동맥압과 심박수를 기록하였다.결과: Rocuronium의 발현시간은 phenylephrine을 전처치한 군(84 ± 18 초)에서 생리식염수군(72 ± 14 초)에 비하여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작용지속시간은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삽관 조건 및 마취 유도 과정의 평균 동맥압과 심박수는 각 시점에서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결론: Propofol로 전신 마취를 유도하는 성인환자에서 혈압 상승을 일으키지 않는 용량의 phenylephrine은 rocuronium의 발현시간을 지연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역가의 ephedrine 전처치로 인한 rocuronium 발현시간 단축에 ephedrine의 α-아드레날린 수용체 촉진효과는 기여한 바가 없거나 오히려 역효과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Phenylephrine이 rocuronium의 발현시간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phenylephrine on the onset time of rocuronium-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43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n, Young Ju-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원영주-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