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8 984

Cited 0 times in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의 CT를 이용한 상기도 분석과 수면다원검사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훈-
dc.date.accessioned2015-11-21T07:37:57Z-
dc.date.available2015-11-21T07:37:5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77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주로 상기도 협착과 같은 해부학적 요인으로인해서 발생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CT 촬영을 통해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의 해부학적 특징을 평가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수면다원검사 결과상의 중증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으로는 2007년10월부터 2009년 5월 사이에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을 주증상으로 내원한 68명의환자를 대상으로 수면 중에 발생하는 시간당 무호흡과 저호흡의 평균 발생 횟수와 최소산소포화도를 산출하였다. 비인두에서 하인두까지 축상면과 시상면의 CT영상 상의 기준면을 정하여 해부학적 도수를 측정하였다. 해부학적 도수로는 비인두, 연구개, 설근부 및 하인두 기도의 횡 단면적, 전후 및 좌우 직경, 구개수와혀의 길이 및 두께를 선택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도수는 호흡장애지수 및 최소산소포화도와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호흡장애지수와 통계학적으로유의하게 연관된 해부학적 도수로는 비인두 기도의 횡 단면적과 전후 직경, 연구개 기도의 좌우 직경, 구개수의 길이, 혀의 길이, 설기저부의 전후 직경 및 좌우직경, 하인두의 전후 직경 및 좌우 직경 등이었다. 최소산소포화도와 통계학적유의성이 관찰된 항목으로는 구개수 길이, 설기저부의 좌우 직경 및 하인두의 전후 직경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CT를 이용한 상기도 분석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관련있는 해부학적 도수들을 제시하므로 앞으로 수면무호흡 환자를 진단하고 수술적 처치를 고려할 때 CT가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영문]Background and Objectives :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and snoring is mainly due to the anatomical factors resulting in the narrowing of the upper airway lume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anatom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OSAS and snoring using computed tomography(C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variables and severity of the polysomnography(PSG)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October 2007 and May 2009, 68 patients who had the symptoms of snoring and sleep apne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underwent PSG and upper airway CT. The average number of episodes of apnea and hypopnea per hour of sleep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nd minimal arterial oxygen saturation (minSaO2) were calculated. The axial and sagittal images from the level of nasopharynx to hypopharynx were obtained and various anato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 of all anatomical parameters with RDI and minSaO2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 :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parameters correlated with RDI were nasopharynx anterior-posterior (A-P) diameter, nasopharynx transverse diameter, soft palate transverse diameter, uvula length, tongue length, lingual transverse diameter, hypopharynx A-P diameter, and hypophrynx transverse diamete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s correlated with minSaO2 were nasopharynx transverse diameter, lingual transverse diameter. Conclusion : The upper airway analysis in patients with OSAS and snoring using CT provides some anatomical parameters which a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OSA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의 CT를 이용한 상기도 분석과 수면다원검사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ssessment of the airway in snoring and OSAS patients with computed tomography and correlation with po-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00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 Ho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지훈-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