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비만 및 과체중자의 체중조절행위와 관련된 요인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정휘수 |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35:00Z |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35:00Z | - |
| dc.date.issued | 2009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668 | - |
| dc.description | 역학통계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비만의 중요성 및 체중조절행위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지만 불행하게도 비만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비만 및 과체중자를 대상으로 체중조절행위의 실천정도 및 이와 관련된 요인 확인을 통해 효과적인 체중조절 중재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8년 7월 7일부터 10월 30일까지 경북 경주시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수검자 중 체질량지수(BMI)가 23kg/m2이상인 수검자 306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대상자들의 비만율은 52.6%이었고 복부 비만율은 34.0%이었다. 스스로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에서 비만율은 남자가 73.6%, 여자는 41.7%였다. 비만 자체를 질병으로 인식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65.4%였다. 체중조절행위를 횡이론적 단계별 변화모형에 따라 5단계로 나누었을 때 유지단계는 27.8%, 행동 단계는 17.3%, 준비 단계는 26.5%, 고려기는 17.5%, 고려전기는 20.9%로 나타났다. 주된 체중 조절 방법은 남자는 운동이었고 여자는 식이요법이었다. 의사로부터 체중조절에 대해 권고를 받은 경우는 58.6%이었지만 의사로부터 체중조절방법을 교육받은 경우는 13.2%이었다. 남자에서는 현재 비흡연자이거나(교차비 0.33, 95% 신뢰구간 0.12∼0.92), 비만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교차비 3.65, 95% 신뢰구간 1.13∼11.79), 건강신념모형요소 중 지각된 유익성 점수가 높은 경우(교차비 1.49, 95% 신뢰구간 1.04∼2.14)에, 여자에서는 건강신념요소 중 행동의 계기 점수가 높은 경우(교차비 2.3, 95% 신뢰구간 1.02∼5.18)에 체중조절행위를 실천하였다.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인 남자 비만자들에서는 의사의 체중조절 권고경험이 있었던 경우(교차비 6.04, 95% 신뢰구간 1.18∼31.05)와, 건강신념모형요소 중 지각된 유익성 점수가 높은 경우(교차비 1.83, 95% 신뢰구간 1.04∼3.21)에 체중조절행위를 실천하였다. 따라서 비만 및 과체중자에서 체중조절행위에 대한 실천을 높이기 위해서 보건의료인은 적극적으로 체중감량을 권고해야 하며, 특히 체중조절의 유익성에 대해 중점을 두고 체중조절을 중재해야 한다. [영문]Importance of obesity on health and attempting of weight control increasing, But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creasing too.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ondition of weight control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nd examine the factor which related weight control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planning on effective weight control interv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questionnaire from 306 subjects who visited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ju and had body mass index(BMI)≥23kg/m2 between July 7th, 2008 and Oct 31th, 2008. To analyze the data, the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program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52.6% of subjects was obese and 34% detected abdominal obesity. 73.6% of male and 41.7% of female who feeling obese identified obesity. 65.4% of subjects recognized of obesity as disease. 27.8% of subjects were in maintenance stage, 17.3% in action stage, 26.5% in preparation stage, 17.5% in contemplation stage, 20.9% in precontemplation stage for weight control. The most common method of weight control was exercise in male, low caloric diet in female. Subjects had doctor's advice on weight control was 58.6%, Educated about weight control method by doctor was 13.2%. Male who had family history of obesity(OR 3.65, 95% CI 1.13∼11.79) or non current smoker(OR 0.33, 95% CI 0.12∼0.92) or high score of perceived benefits about weight control(OR 1.49, 95% CI 1.04∼2.14) exerted on weight control. Female who had high score of cue to action about weight control(OR 2.3, 95% CI 1.02∼5.18) exerted on weight control. Male subjects of BMI≥25kg/m2 who had doctor's advice of weight control(OR 6.04, 95% CI 1.18∼31.05)or high score of perceived benefits about weight control(OR 1.83, 95% CI 1.04∼3.21) exerted on weight control. Increasing Attempt on weight control for overweight and obese adult, Public health practitioners should advise on weight control and emphasize benefit of weight control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prohibitio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비만 및 과체중자의 체중조절행위와 관련된 요인 | - |
| dc.title.alternative | Factors related weight control of overweight and obese adults | - |
| dc.type | Thesis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