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0 475

Cited 0 times in

종합건강검진 수진자의 대사증후군의 단기적 변화 양상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연-
dc.date.accessioned2015-11-21T07:34:16Z-
dc.date.available2015-11-21T07:34:16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643-
dc.description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연구배경 및 목적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이상지혈증 등 심혈관계질환의 몇 가지 위험요인으로 구성된 질환군으로, 대사증후군에 이환된 경우 당뇨발생과 심혈관질환의 발생이 정상인에 비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비만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를 악화시키고 이를 예측하는 독립적인 인자이다. 최근 들어 비만자체보다는 복부비만이 심혈관질환과의 관련성이 높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있다. 체질량지수가 정상범위인 경우에도 과도한 복부 축적 양상을 나타내면서 허리둘레가 증가하게 되면 심혈관질환 및 당뇨병의 발병률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단기 추적동안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변화와 허리둘레, 체질량지수의 변화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3개의 종합건강검진센터에 2006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2회 이상 방문한 사람 중 대사증후군 관련 수치가 결측인 자를 제외한 6,795명(남자 4,995명, 여자 1,8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허리둘레는 수검자들이 속옷만 입은 상태에서 장골과 마지막 늑골사이의 중간부위를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 정의는 NCEP-ATPⅢ(BP≥130/85mmHg, FBS≥100mg/dL, HDL <50(M),40(F), Waist≥90(M), 80(F) , TG≥150mg/dL)를 기준으로 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9.1 ver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자 43.2세, 여자 40.3세이며, 평균 Follow- up기간은 남자 11.8개월, 여자 12.1개월이었다. Baseline과 follw-up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14.8%에서 18.8%로 약 4.0%가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 요소 중에서 high-Waist는 21.5%에서 26.3%로 증가하였고, Low- HDL은 12.8%에서 14.8%, hihg-FBS은 16.2%에서 22.7%로 유병률이 각각 증가하였다. 여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6.3%에서 8.0%로 약 1.7%가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는 허리둘레가 증가한 군이 줄어든 군에 비해 남자 2.52(1.97-3.24)배, 여자 3.91(2.09-7.33)배 높았다. BMI가 줄어든 군에 비해 늘어난 군이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가 남자 1.78(1.40-2.26)배, 여자 2.39(1.33-4.27)배 높았다. 허리둘레와 BMI가 모두 증가한 군은 모두 즐어든 군에 비해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도가 남자 3.26(2.29-4.63)배, 여자 6.17(2.47-15.39)배 높았다. 고찰 및 결론 총 6,795명의 종합건강검진 수진자를 대상으로 평균 11.9개월동안 단기추적한 결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물론 각 요소들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허리둘레의 증가와 BMI의 증가가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들을 악화시켜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비만, 특히 복부비만은 대사증후군, 당뇨병 및 심혈관질환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Background :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hort term change of obesity status in regards to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sian population. This prospectiv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hange in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mass index on metabolic syndrome incidence during a shorten period of time. Methods: The study included 6,795 Koreans who participated at repeated examination at health care centers in Seoul,Korea.The mean period of follow-up was 11.8 months in men and 12.1 months in women, respectively. Metabolic risk factors, including waist circumference and BMI, were segregated into tertiles.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by NCEP-ATPⅢ.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AS statistical software, version 9.0. Results: Compared with prevalence of MS at baseline, those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from 14.8% to 18.8% in men and 6.3% and 8.0% in women. For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the highest tertile of WC had a 2.52-fold increase in men and 3.91-fold increase in women when compared to the lowest tertile of WC. The highest tertile of BMI showed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by 1.78 in men and 2.39 in women,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lowest tertile of BMI. Metabolic syndrome incidence in the highest tertile of both WC and BMI was 3.26 among men and 6.17 among women, using the lowest tertile as a reference for the waist circumference and BMI.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with increasing WC, causing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to deteriorate during the 12 month follow up. Therefore, active management should be required as obesity i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종합건강검진 수진자의 대사증후군의 단기적 변화 양상-
dc.title.alternative(A) short-term chang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populations with health examinat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ee Ye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