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8 545

Cited 0 times in

여성 갱년기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건강정보 질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안나-
dc.date.accessioned2015-11-21T07:31:48Z-
dc.date.available2015-11-21T07:31:48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53-
dc.description역학통계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본 연구는 여성 갱년기질환 관련 국내 인터넷 건강정보의 실태를 파악하고 객관적 도구를 통해 그 질을 평가하고자 하며, 인터넷 정보이용자의 조회수 및 추천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 건강정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건강정보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여성 갱년기질환 관련 국내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분석 연구로서 463개의 네이버 지식인 컨텐츠를 연구대상으로 선별하고, 정보 형태, 주제별 분류, 인용정보 유무, 양/한방 분류 등의 4가지 범주로 그 내용을 분류한 후, 객관적 질 평가도구를 통해 ‘과학적 건전성’, ‘사실의 과장성’, ‘상업성’ 측면에서 건강정보를 평가하였다. 또한 건강정보의 일반적 특성, 조회수, 추천수와 객관적 질 평가점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인터넷 이용자의 인기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조회수와 만족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추천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수행으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갱년기질환 관련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 평가점수는 최소 1점, 최대 5점의 척도로 평가하였을 때 과학적 건전성의 경우 평균 2.9점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전체의 65.7%가 평균 3점 이하였다. 사실의 과장성과 상업성의 경우 전체의 44.7%가 의학적 사실을 과장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고 전체의 24.4%가 상업적 목적의 광고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객관적 질 평가점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서술형 정보, 의학적 개요 관련 정보, 인용정보를 포함한 정보, 양의학 정보인 경우에는 과학적 건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예방/치료 관련 정보, 인용정보를 포함한 정보, 민간요법 정보인 경우에는 사실의 과장성과 상업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회수, 추천수와 객관적 질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조회수와 추천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과학적 건전성과 조회수, 과학적 건전성과 추천수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사실의 과장성과 상업성은 조회수, 추천수와 관련성이 없었다. 객관적 질 평가기준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과학적 건전성과 사실의 과장성, 과학적 건전성과 상업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실의 과장성과 상업성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인기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조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은 객관적 질 평가항목 중 과학적 건전성이었고, 인용정보 유무도 영향요인이었다. 과학적 건전성이 높을 때 조회수가 높았으며, 인용정보가 있는 경우가 인용정보가 없는 경우에 비해 조회수가 높았다. 다섯째, 만족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추천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은 정보형태로서,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상담형에 비해 서술형 정보가 추천받을 확률이 높았다. 양/한방 분류에서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양의학 정보에 비해 기타 정보가 정보이용자로부터 추천받을 확률이 현저하게 낮았다. 객관적 질 평가항목 중 과학적 건전성만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는데 과학적 건전성이 증가하면 정보이용자로부터 추천받을 확률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네이버 지식인 컨텐츠를 대상으로한 여성 갱년기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건강정보의 질은, 전반적으로 낮은 과학적 건전성 수준을 보였으며 과장된 사실을 포함하거나 상업적 목적의 광고를 포함한 경우도 많았다. 또한 인터넷 건강정보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객관적 질 평가점수는 차이가 있었고, 객관적 질 평가항목 중 과학적 건전성은 조회수 및 추천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설명되었다. 따라서 정보이용자를 만족시키고 나아가 건강정보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향후 인터넷 건강정보의 지향점은, 과학적으로 근거가 충분한 건전한 건강정보의 생산 및 보급 그리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질 관리 및 평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의 질과 인기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여러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간의 연구들은 주로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도 서로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네이버 지식인 컨텐츠라는 연구대상의 특수성 때문에 인구학적 요인과 신뢰성, 접근성, 웹의 외형성, 이용의 편리성 등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질 평가를 할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여러 변인들을 제외시켜야 했다. 향후 폭 넓은 변인들을 적용하여 인터넷 건강정보의 실태파악 및 인기도, 만족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건강정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국가 보건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ature and quality of the menopause-related information currently available on the Korean internet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affect the popularity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he knowledge search engine, Naver Ji-Sik-In was used to explore the internet using the keywords 'menopause' and 'climacteric'. Each information was assessed on the following categories: information type, subject, presence of quotation, background medicine, and evaluated on the quality by a systematic scoring tool whose objective criteria were scientific soundness, presence of exaggeration, presenc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Naver search number and recommendation number are used as useful indicators of the popularity and satisfaction, respectively. To analyze qua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opau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rity, satisfaction and objective quality scor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clarify which factors affect the popularity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nopau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as of poor quality in the area of scientific soundness. Exaggerations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were presented in 44.7% and 24.4% of the overall informations respectively. 2. Descriptive informations, basic medical informations including physiology & pathology, informations containing quotation, western medicine based informa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quality scores than others in the area of scientific soundness, while prevention & treatment informations, informations containing quotati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forma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quality scores than others in the area of presence of exaggeration, presenc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3.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opularity and satisfaction, between scientific soundness and popularity, between scientific soundness and satisfaction, between presence of exaggeration and presenc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while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scientific soundness and presence of exaggeration, between scientific soundness and presenc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4. Factors affecting the popularity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included scientific soundness, presence of quotation.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included information type, background medicine, scientific sound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quality scores of menopaus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ere not high and scientific soundness w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both popularity and satisfaction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he internet is a valuable tool for obtaining health information, but menopause-related information currently available on the Korean internet is highly variable in quality and lacks scientific soundness. So, for assuring the good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internet contents should be evaluated and monitored continually by professionals. In addition, effective evaluation tool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internet users to choose good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so that they can search for information themselves effectivel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여성 갱년기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건강정보 질 평가-
dc.title.alternativeAssessing the quality of menopause-related information on the Korean interne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An N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