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 606

Cited 0 times in

의료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 및 태도

Other Titles
 (A) study on hospital staff'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 focused on those working for the public hos 
Authors
 배정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의료기관평가제도는 정부가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의료서비스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 의료기관 이용상의 불편을 개선함으로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이 취약한 가운데 획일적인 평가 기준을 적용해 평가를 받고 있는 공공병원에 대하여, 의료기관평가제도가 공공병원 의료서비스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한편, 직원들의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7년 평가를 받은 500병상 이상 3개 공공 병원 직원 800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 17일간 구조화된 설문 조사지를 이용하여 부서별 배포 후, 응답자 중심으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에서 분석된 응답수는 697명으로써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병원 직원들은 의료기관평가제도 필요성 문항에 대해 조사대상 응답자 중 43.9%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직종별 비교에서는 행정기능직이 54.7%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근무기간별로는 20년 이상 근무 기간자가 66.7%로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였다. 의료기관평가제도 평가 항목의 적합성이나 평가 과정의 적합성, 2007결과의 의료기관서비스 수준 반영정도 등에 대하여는 전체적으로 긍정적 태도보다는 부정적인 응답비율이 높았다.

둘째, 의료기관평가로 인한 질향상 효과 문항에 대하여 환자의 권리와 편의 부문의 질향상 효과는 전체조사대상 병원 응답자 중 42.2%가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으며, 특히 행정 기능직이 54.7%로 높았고 근무기간별로는 20년 이상인자가 68.5%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만족도 부문의 질향상 효과 역시 전체 조사대상 병원 응답자의 31.7%가 긍정적으로 인지하여 다른 조사 지표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그러나 진료체계 운영성과에 대한 효과는 23.4%, 시설, 인력 등 구조적 개선에 대해선 27.3%만이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으며 부정적 인식 비율이 긍정적 인식비율보다 높았다. 또한 임상적 성과와 경영성과에 대해선 14.5%, 14.6%로서 긍정적 비율이 가장 낮았다.

셋째, 지속적인 질향상 활동 유지 문항에 대하여는 지원체계 미비로 인한 시설, 인력, 장비 등 구조적인 문제와 부서 업무와 평가기준이 맞지 않다는 문제점 등으로 인해 전체 조사대상 병원 응답자 중 34.2%만이 2007평가 결과에 따른 지속적인 질향상 활동을 유지해 오고 있었다.

넷째, 2010년 3주기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자발적 참여 태도 문항에 대하여는 전체 조사대상 병원 응답자 중 18.7%로 3주기 평가에 대한 참여 태도가 낮았는데, 직무요구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높았던 간호직과 2주기 평가참여 유경험자의 3주기 자발적 참여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특히 강했다.

다섯째, 의료기관평가로 인한 직무요구스트레스 문항에 대하여는 전체 조사대상 병원 응답자 중 67.8%로써 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높았는데, 그 가운데 간호직이 77.4%였고 평가참여자가 72.5%로 각각 직무요구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직무환경 스트레스 문항은 직종 가운데 의사직이 54.0%로 높았다.

여섯째, 직원들이 인지하는 의료기관평가로 인한 운영성과 문항에 대하여 전체조사대상 병원 응답자 중 12.6%만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는데, 그 가운데 자원 활용 효율성과 직원들의 평가로 인한 사기 향상 부문에 대한 인지도가 7.5%로써 부정적인 인식이 특히 강했다.

결론적으로 공공병원 직원들이 의료기관평가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인식하고 있었지만 평가항목이나 평가과정의 적합성, 평가로 인한 운영성과, 질향상 효과 등에는 부정적이었다. 또한 공공병원의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의 취약함과 부서업무와 맞지 않다는 평가기준 등에 대한 문제점으로 2007년 결과에 따른 개선된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으며, 평가준비 과정에서 가중된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3주기 자발적 평가에 대한 참여 태도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고 있었다. 자체적으로 직원들을 위한 스트레스 해소와 효과적인 동기부여 방안 마련이 필요하고, 정부주도의 공공병원에 대한 기본적인 인프라 구축 지원과 함께, 평가기준 세분화와 결과 공개 및 활용 방안 등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 공공병원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마련이 필요하다. 평가 과정에 있어서는 정부의 일방적인 평가정책 실행에 앞서, 의료기관 현장 직원들의 적극적인 의견 반영으로 타당성 확보를 통해 자발적으로 질향상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영문]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allows the government to accredit the medical service levels provided for by the medical institutes in order to improve the medical services, remedy the inconveniences of using the medical services and assure the people of quality medical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some uniform accreditation criteria to the public hospitals, assuming that the basic infras fall short, and thereby, analyze the effects of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on the medical services of the public hospitals, while surveying their staff'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s the syst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800 officials working for 3 public hospitals with 500 sickbeds or more which had been accredited since 2007, and thereb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17 days from September 22 through October 7, 2008. 697 officials responded to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3.9%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importance of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To be more specific, 54.7% of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thought that the system would be needed, while 66.7% of those who had worked for 20 years or longer perceived that the system would be important. However, the ratio of the respondents who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s the system in terms of suitability of accreditation points or process and reflection of the accreditation results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showed positive attitudes.

Second, in terms of improved medical services, 42.2%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had conduced to improvement of the medical services; 54.8% of the administrative officials and 68.5% of those who had worked felt positive for the system. In terms of patients' satisfaction, 31.7%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system had contributed to patients' satisfaction with the medical services. However, in terms of the effects on the performances of the treatment system, only 23.4%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system was effective, while in terms of structural reforms for facilities and manpower, only 23.7% of them perceived that the system was conducive. Namely, the ratio of the respondents who perceived the system negatively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perceived it positively. Moreover, only 14.5% and 14.6%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 system had been effective in terms of clinical performances and managerial performances, respectively.

Third, in terms of continued quality improvement activities, only 34.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continu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accreditation, while mentioning about such problems as lack of supporting system, poor manpower and facilities, unconformity between departmental responsibilities and accreditation points.

Fourth, in terms of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tertiary accreditation in 2010, only 18.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voluntarily. In particular, the nurses subject to more job stresses and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secondary accreditation were less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tertiary accreditation voluntarily,

Fifth, 67.8% of the respondents were highly stressed by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77.4% of the nurses and 72.5% of those who had participated in the accreditation were more stressed for their job responsibilities, while 54.0% of physicians were stressed more for the job environment.

Sixth, only 12.6% of the respondents felt positive for the effects of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on the performances of the hospitals, and particularly, only 7.5% of them perceived that the system had the effects on efficient use of resources and medical staff's morale.

In conclusion, the public hospital staff were aware of the need for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but they felt negative for its accreditation points, suitability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its effects on performances and medical service quality. In addition, due to such problems as lack of the basic infras and unrealistic accreditation criteria, they could not continue to reform their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creditation in 2007. In addition, because they were stressed in the course of preparing themselves for the accreditation, they showed som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tertiary accreditation. So, it was deemed necessary to help the medical staff relieved of their stress and motiv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while constructing the basic infras of the public hospitals, segment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and making them open to the public and reflected in assessment of hospitals. All in all, long-term strategies for the medical institute accreditation system were deemed required. Besides, in terms of accreditation process, it was deemed necessary to avoid one-sided accreditation policies on the part of the government and instead, reflect medical staff's opinions positively to motiv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voluntarily.
Files in This Item:
T0107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4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