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615

Cited 0 times in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민석-
dc.date.accessioned2015-11-21T07:30:54Z-
dc.date.available2015-11-21T07:30:54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20-
dc.description환경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기존 연구결과에서는 대기 중 및 실내의 오염물질의 개인노출에 대한 건강 영향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역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1990년대의 자동차 배기가스의 호흡기계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부터 2000년대에는 개인노출과 연령그룹이 세분화 또는 특화되어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노출에 대한 건강자각증상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노출평가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설문조사의 결과와 일관된 관련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 10월 ~ 11월까지 서울시 노원구에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사람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건강자각증상을 실시하였고, 현장측정 PM10과 대기자동측정망의 PM10 농도와 다양한 건강자각증상 및 대상자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대상자들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흡연유무에 대한 일반특성과 대상자의 직업, 근무기간(시간), 건강자각증상, 질환진단여부, 가족력에 대한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PM10 농도는 portable minivol. sampler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고, 건강자각증상은 American Thoracic Society Division of Lung Diseases(ATS-DLD)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9.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은 연령과 흡연을 고려하여 고르게 조사되었다. 성별은 직업적 특수성으로 인하여 남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설문지 대상자중 자동차 배기가스 고노출군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하나는 차량운전기사, 다른 하나는 도로변 인접 근무자 및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이다. 교육소득은 고졸과 전문대졸 학력이 많았으며 가구소득은 200~400만원 월 소득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직업적으로 차량운전기사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영업이 많았다. 그리고 주부와 학생 및 무직자들은 이번 설문조사 소수에 불과하였다. 자동차 배기가스 노출군을 주요 대상으로 잡았기 때문에, 도로변 이격거리에 있어서도 도로변에서 30m 이내의 사람을 고노출군, 30m 이상을 저노출군으로 설정하였다. 건강자각증상을 직업, 연령, 흡연, 도로변 이격거리, 근무시간, 학력, 가구소득 등의 혼란변수를 통제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한 결과 흡연에 대한 만성 기관지염, 급성기관지염 증상과 도로변 이격거리에 대한 만성 기관지염 증상, 성별에 대한 급성 기관지염 증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인 대기 중 미세먼지농도와 건강자각증상의 상관성은 미세먼지 개인노출자료의 제한성으로 인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영문]In this cross-sectional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matter of traffic based air pollution and health administrated symtoms among workers and residents in Nowon area of Seoul. The author used a modified standardized questionnaire to identify health administrated symptoms(HAS) in participants of Nowon. Also the author monitored PM10 in the two areas of Nowon. The result of having HAS in chronic bronchitis, acute asthma, bronchial asthma, dyspnea and wheezing versus variables of questionnaire among 400 participants was that 4 people are positive about chronic bronchitis versus smoking and 23 people are positive about acute asthma versus smoking and 12 people are positive about chronic bronchitis versus intervals of the vehicles road and 49 people are positive about chronic bronchitis versus sex. The authors concluded respiratory conditions and symtoms were not associated with PM concentration of urban traffic air pollution but were associated with variables about smoking, intervals of the road, sex.-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dministrated symptoms and PM concentration of ambient air-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Min Se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