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2 1109

Cited 0 times in

기도협착 유형에 따른 기도내 삽입튜브 발관의 성공 여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철-
dc.date.accessioned2015-11-21T07:29:25Z-
dc.date.available2015-11-21T07:29:25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6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배경 및 목적: 기도협착의 치료를 위하여 기관 내에 삽입하는 기도내 튜브의 하나인 T 튜브는 1965년 Montgomery가 소개한 이래 고식적 치료로나 최종 치료의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발관의 전반적인 성공률은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며 발관의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도협착의 발생 정도 및 형태 등과 발관의 성공률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995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 연세의료원 이비인후과에서 기도협착으로 T 튜브 삽관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기관지경 소견 또는 70도 망원경(telescope) 소견과 경부의 영상학적 검사 소견이 있는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협착 부위에 대한 평가는 협착된 정도, 협착분절의 세로길이, 기관 단면에서 육아조직이 기관 둘레를 침범하는 정도, 협착의 다중성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T 튜브 삽관술 당시 환자의 평균 나이는 47.9±21.4세, 남녀비는 1:1.2,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26.5±19.7개월이었다. 성별과 수술 당시의 나이, 협착의 다중성, 협착된 정도(p=0.860)는 발관의 성공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협착분절의 세로길이만이 발관의 성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p=0.035), 육아조직이 기관 둘레의 침범이 클수록 발관이 실패하는 경향(p=0.084)을 보였다. 결론: 협착된 정도는 환자들의 증상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발관의 성공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협착 분절의 세로길이와 둘레 침범의 정도만이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육아조직이 자라나는, 손상된 기도 점막의 면적과 관련이 있는 요소로서 본 연구를 통하여 증식된 육아조직의 크기와 그에 따른 증상보다는 손상된 점막의 넓이가 발관의 성공 여부에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Background and Objectives: Since its introduction in 1965 by Montgomery, T-tube has been widely used as a therapeutic method for palliative as well as definitive treatment of tracheal stenosis. The overall success rate of T-tube indwelling method is not high and predictors for successful outcome have not been studied much and not yet proposed. The author analyzed several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tracheal stenosis to search for a factor useful as a prognostic indicator for a successful decann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received T-tube insertion from 1995 to 2004 at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everance Hospital, a total of 41 patients, whose endoscopic findings and imaging studies were available, were selected to b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several factors regarding the type of stenosis such as the severity, longitudinal extent, circumferential involvement of stenosis, and number of stenotic sit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the treatment was 47.9±21.4 years. Male to female ratio was 1:1.12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6.5±19.7 months. The age at the time of treatment, gender, the number of stenotic sites, and the severity of stenosis (p=0.860)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uccessful decannulation. The longitudinal extent of stenosi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uccessful decannulation (p=0.035) and cases with the greater circumferential involvement tended to result in decannulation failure. (p=0.084) Conclusions: The severity of stenosi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decannulation rate although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patients’ symptoms. The longitudinal extent of stenosis and the circumferential involvement of the granulation tissue were found to be correlated to the success rate and represented the extent of damaged mucosal area.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extent of damaged mucosal area could be more important than the size of granulation tissue and patients’ symptoms, when predicting the decannulation of T- tub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기도협착 유형에 따른 기도내 삽입튜브 발관의 성공 여부-
dc.title.alternativeSuccessful decannulation of T-tube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cheal stenosi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52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ang Cheol-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상철-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