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29

Cited 0 times in

시설 이용 노인에 있어서 포괄적 노인 평가 및 생활 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경희-
dc.date.accessioned2015-11-21T07:28:01Z-
dc.date.available2015-11-21T07:28:01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16-
dc.description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포괄적인 노인 평가는 증가하는 노인 집단에 대한 진료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 건강평가의 하나의 방법론으로 범 세계적으로 급격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노인의 일상 생활에서 정신 건강이나 심리적 행복과 복지상태(psychological well-being)의 정도를 측정하려는 여러 시도의 결과로써 생활 만족도 척도가 연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군데의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에 있어서 포괄적 노인 평가 및 생활 만족도를 조사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 서로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써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성남시에 거주하는 65세이상의 노인 108명으로 거주 시설별로 복지관을 이용하는 가정 거주자 32명, 양로원 거주자 41명, 병원입원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1998년 8월1일부터 1998년 9월 30일까지 면접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조사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포괄적 노인 평가 및 생활 만족도 등을 묻는 설문을 이용하였다. 분석은 chi-square, ANOVA,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평균 나이는 75세 (SD=6.9) 였으며 남녀의 수(%)는 각각 23명(21%), 85명(79%) 이였다. 각 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요인(성별, 나이, 교육, 종교, 배우자유무, 동거가족 유무, 월 수입), 생활습관 요인(운동, 수면 시간), 의료 이용도(병원 입원, 외래 진료, 약물 복용), 육체적 건강 상태 요인(시력, 청력, 요실금, 영양위험도), 일상생활 수행능력(목욕, 옷입기, 용변보기, 대소변 가리기),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정신적 건강 상태 요인(우울), 사화적 지원망, 생활시설 및 의료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05). 복지관, 양로원, 병원 환자의 생활만족도 지수는 각각 8.69, 7.54, 11.06로 병원 입원노인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건강에 영향을 주는 각각의 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이용 시설,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배우자 유무, 월 수입, 동거가족), 생활습관(운동, 수면시간), 주관적 건강 평가 및 의료이용도, 육체적 건강상태(통증, 영양위험도, 시력), 정신적 건강상태(우울증), 사회환경적 상태(정서적 지지, 환경 서비스)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다중회귀분석결과 우울증세가 적을 경우(p=0.0001), 운동을 하는 경우(p=0.041), 동거가족이 있는 경우(p=0.053)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시설별 생활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Background :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CGA) is a multidimensional interdisciplinary diagnostic process intended to determine a frail elderly person's medical, psychosocial, and functional capability and problems in order to develop an overall plan for treatment and long-term follow-up. Life Satisfaction Index has been used to assess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elderly peopl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people using services at three different facilities. Method : A total of 108 people aged 65 and over living in Sungnam City, Kyunggi Province was surveyed from August 1 to November 30, 1998, which included users of welfare center (32), nursing home residents (41), and those admitted to the hospital(35), Survey items include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s and life satisfaction scal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Chi-square,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Average age was 75 years(SD=6.9) with 23 men (21%) and 85 women(79%). Significant differences (p<.05) were observed among users of three faciliti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age, education, presence of spouse, presence of household members, economic status, etc.); life style factor (hour of sleep); health service use (hospitalization, outpatient), physical health (vision, hearing, incontinence, nutr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mental health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care services. Life satisfaction index showed 8.69, 7.54, and 11.06 for welfare center, nursing home, and hospital, respectively, showing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admitted to the hospital.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p< .05) with life satisfaction were facility typ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presence of spouse, monthly income, presence of household members); life style characteristics (exercise, hour of sleep); self-assessed health and health service use; physical health (pain, nutrition, vision); mental health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services(environment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lower degree of depressive symptoms(p= .001), exercise (p=0.41), and presence of household members (p=.053)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No difference was observed by type of facility.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depression, exercise, and family structure in determining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users of three different faciliti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시설 이용 노인에 있어서 포괄적 노인 평가 및 생활 만족도간의 관계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3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Kyung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