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2 1215

Cited 0 times in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전신비만, 복부비만의 관련성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잎새-
dc.date.accessioned2015-11-21T07:22:39Z-
dc.date.available2015-11-21T07:22:3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15-
dc.description역학통계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연구 배경 및 목적 :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비만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뇌심혈관 질환, 암, 다양한 만성질환들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 인간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질환으로 주목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 결과들에서 내장지방의 양을 반영해 준다는 점에서 주목 받고 있는 복부 비만 유병률도 증가추세에 있다. 이와함께 사회발달은 수면시간의 감소를 가져왔고,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수면시간의 감소는 삶의 질 뿐 아니라 사망률, 고혈압, 당뇨, 비만과도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수면시간이 7-8시간 이하인 사람들에게서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의 증가가 나타났고, 수면이 불충분할 경우 비만 위험 증가, 체지방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전신비만, 복부비만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2001년과 2005년에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검진조사에 응한 20세 이상의 성인 대상자 중 검진조사가 완료된 20세에서 80세 사이의 대상자 11,89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수면시간, 신장, 체중이 미측정된 대상자 685명을 제외하고, 2001년 조사에서 5,965명, 2005년 조사에서 5,2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11,209명(남성: 4,789 명, 여성: 6,420명)을 최종 대상자로 하였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를 이용한 전신비만과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으로 구분하였다. 전신비만은 대한비만학회의 기준에 따라 체질량지수 25kg/m2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복부비만은 대한비만학회의 기준에 따라 남성은 90cm, 여성은 85cm이상인 경우를 복부비만으로 정의하였으며, 수면시간은 자가기입 수면시간을 활용하였다. 성별 연령별로 6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χ2검정을 시행하여 관련성을 보았으며, 전신비만과 복부비만을 종속변수로 수면시간별 위험비를 알아보고자 각 그룹별 혼란변수를 통제한 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비차비(Odds ratio)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20-39세 남성의 전신비만 위험은 수면시간이 7-7.9시간일 때에 비해 6시간 미만인 수면군에서 2.04(95%CI 1.38-3.02), 6-6.9시간 수면군에서 1.54(95%CI 1.18-2.01)였으며, 수면시간 증가 시 전신비만 위험은 0.80 (95%CI 0.72-0.90), 복부비만 위험은 0.86(95%CI 0.76-0.98)이었다. 40-59세 남성은 수면시간 증가 시 전신 비만 위험이 0.91(95%CI 0.83-1.00)로 감소하며 경계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반면, 여성은 20-39세 여성에서 전신비만의 위험이 7-7.9시간 수면군에 비해 6-6.9시간 수면 군은 1.49(95%CI 1.11-2.00)였지만, 이외의 연령에서는 수면시간과 전신비만, 복부비만 사이의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한국인 젊은 남성에서 수면시간과 복부비만의 음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존 연구결과와 동일하다. 또한, 성별과 연령이 수면시간과 비만의 관련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본 단면 연구를 토대로 향후 수면과 비만과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영문] Background: Obesity has become a major health problem because it is related to multiple medical consequences; like hypertension, diabetes, and heart disease.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that represents the visceral fat is increasing these days.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not only quality of life but also mortality,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sleep duration less than 7-8 hours is associated with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or abdominal obesity among the Korean adults. Methods: The data from the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11,894 subjects aged 20 - 80 years who had undergone the medical examination in 2001 and 2005 were sampled. We excluded those 685 people whose average sleeping hours, heights and weights had not been measured.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5,965 people checked in 2001 and 5,244 people checked in 2005 : a total of 11,209 people (4,789 males and 6,420 females). Obesity was divided into the obesity dictated by the body mass index(BMI) and the abdominal obesity dictated by the waist circumference(WC). Obesity was defined as BMI≥25kg/m2 and abdominal obesity was defined as WC≥90cm in men and WC≥85cm in women. Sleep duration was measured u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while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adjust for significant confounding variables per group. Results: Compared with subjects who slept 7-7.9 hours, the adjusted odds ratio of obesity was 2.04 (95%CI 1.38-3.02) for those sleeping ≤6 hours and 1.54 (95%CI 1.18-2.01) for those sleeping 6-6.9 hours in the male subjects aged between 20-39 years. As sleep duration increased, the risk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lowered (OR; 0.80, 95%CI 0.72-0.90 and OR; 0.86, 95%CI 0.76-0.98) in the male subjects aged between 20-39 years. In the male group aged between 40 and 59 years, as sleep duration increased, the risk of obesity decreased (OR; 0.91, 95%CI 0.83-1.00) and this association was borderlinely significant. Compared with subjects who slept 7-7.9 hours, the adjusted odds ratio of obesity was 1.49 (95%CI 1.11-2.00) for those sleeping 6-6.9hours in the female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39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or abdominal obesity in the other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previous findings that sleep dur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besity. Negative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sleep duration and obesity or abdominal obesity in the young Korean ma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is relationship and causalit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 성인의 수면시간과 전신비만, 복부비만의 관련성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Ip Sa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