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0 2018

Cited 0 times in

강박장애의 감정표현불능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대영-
dc.date.accessioned2015-11-21T07:21:53Z-
dc.date.available2015-11-21T07:21:5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8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내 용: 감정표현불능증은 기존 연구에서 많은 신체질환 및 정신장애 뿐 아니라 강박장애와의 연관성도 제시되었다. 이에 국내에서 표준화된 TAS-20K (Korean version of the 20 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를 이용하여 강박장애에서 나타나는 감정표현불능증의 특성 및 감정표현불능증과 사회인구학적인 요인, 강박증상, 불안, 우울 수준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정상 대조군과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감정표현불능증과 강박장애의 증상차원과의 관련성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강박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보다 강박증상, 불안, 우울, TAS-20K 총점 및 하위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강박장애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 척도는 TAS-20K 총점 및 요인 1(느낌을 잘 알지 못함), 요인 2(느낌을 잘 표현하지 못함)와 연관이 있었다. Y-BOCS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총점 및 강박사고 점수는 TAS-20K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TAS-20K 총점에 대한 설명요인은 불안 척도와 발병 연령이었다. 강박장애의 증상차원들 중에서 ''성적/종교적 강박사고'' 차원만이 TAS-20K 총점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강박장애 환자는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높고, 불안이 감정표현불능증의 가장 중요한 설명요인이었다. 또한 감정표현불능증은 강박장애의 조기 발병과 관련이 많으며, ''성적/종교적 강박사고'' 차원과도 연관성이 높았다. 추후 반구조화된 감정표현불능증 평가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며, 보다 많은 강박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반응의 차이와 예후에 관한 전향적 연구 및 요인분석을 통한 감정표현불능증과 강박장애의 증상차원과의 관련성 연구가 요망된다. [영문]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association between alexithymia and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difference of the alexithymia between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his study was also design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exithymia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 dimensions. 45 subjects with OCD and 45 normal controls completed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 (Y-BOCS), Korean version of 20 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Hamilton Anxiety Scale, and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OCD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alexithymia. The alexithymia of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was explained by anxiety and age of onset. The YBOCS score and Obsessions score in obsessive compulsive patients were correlated with TAS-20K score. ''Sexual/religious obsessions'' dimension from five symptom dimension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exithym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onset groups of OCD may be associated with alexithymia and patients with sexual/religious obsession dimensions may tend to be alexithymic. In the futur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with large groups of obsessive-compulsive patients concerning about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dimensions related with alexithymia using factor analysi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강박장애의 감정표현불능증-
dc.title.alternativeAlexithymia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27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oh, Dae Yo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대영-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