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1 570

Cited 0 times in

원발성 간세포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조기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희-
dc.date.accessioned2015-11-21T07:15:12Z-
dc.date.available2015-11-21T07:15:1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3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목적: 간세포암의 수술적 절제는 근치적 목적으로 시행되는 치료 방법으로 간기능이 양호한 환자에서 시행된다. 그러나 수술적 절제를 시행한 간세포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25~40% 로 보고되고 있다. 간세포암의 임상적 경과는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수술 후 조기 재발을 경험하는 환자에서는 불량한 예후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낸다. 이 연구는 간세포암으로 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후 1년 이내의 조기 재발을 보인 환자군과 재발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군의 생존율 및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조기 재발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에서 간세포암 진단 후 간절제술을 시행한 297명의 환자 중 1년 이내의 재발을 보인 환자 82명 재발이 관찰되지 않은 환자군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병리학적 인자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예후인자를 확인하였다.결과: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52세(26-76세)였다. 1년 이내 조기재발을 보인 환자는 82명(29.3%) 였고 119명(42.6%)의 환자에서는 재발이 관찰되지 않았다. 1년 이내 조기 재발을 보인 환자군의 평균 생존 기간은 23.5 달 이었으며 2년 전체 생존율은 48.3%였다. 조기재발과 재발을 보이지 않은 환자군 간에 단변량 분석에서 AST >50 ( p=0.018), 미세혈관 침윤(p= 0.064), 간내 전이(p= 0.001) 등이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조기 재발한 군에서 간내 전이, AST 상승, 미세 혈관 침윤이 많이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AST 상승(p=0.034, R.R=2.126)과 간내 전이(p=0.008, R.R=3.109)가 조기재발에 의미있는 예후 인자였고 미세혈관 침윤은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었지만 중요한 연관성을 나타냈다.결론: 간세포암에서 간절제술 후 조기 재발을 보인 환자들의 평균 생존 기간은 근치적 절제가 시행되었다 하더라도 평균 생존기간 1년 이내의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간내 전이, AST 상승,미세 혈관 침습 등의 불량한 예후 인자를 보이는 환자들에서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 치료가 시행되어야 하며 재발을 초기에 발견하기 위해 적극적인 외래 추적 관찰이 요구된다. [영문] IntroductionResec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as become a safe operation with very low operative mortality as a result of advances in surgical technique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Although significant advancesin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surgical approach to HCC have been made in the last 15 years, patients who undergo curative resection have only a 25% to 40% expected 5-year survival rate. Early recurrence (ER) (≤1 year) after liver res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impact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e sought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ER of HCC and examine the outcomes thereafter.Method and Patients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03, 279 patients underwent curative hepatic resection for HCC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oeoul, Korea and prospectively followed with median follow up of 4.1 years. Patients with ER were compared with those who remained disease free for more than 1 year. Patient characteristics, tumor stage, and operative procedures were evaluated for their prognostic significance by univariate and multivariable analysis. Time to recurrence and time to death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survival curves and compared using log-rank analysis.Result. Median age was 52 years(26-76 years). Early recurrence(≤1 year) occurred in 82 patients (29.3%), 119 (42.6%) remained disease free. Median survival time after initial hepatic resection for those with ER was 23.5 months, and 2-year survival was 48.3%. By multivariate analysis, intrahepatic metastasis(p=0.008,R.R=3.109), AST(p=0.034, R.R=2.126)and microvascular invasion(p=0.064, R.R=1.89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early recurrence in our study.ConclusionsER after liver resection for HCC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during the first 2 years after potentially curative resection. ER will develop in approximately 60% of patients with either intrahepatic metastasis, microvascular invasion or AST elevation. For patients with these predictive factors additional treatment might be advis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원발성 간세포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조기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c.title.alternative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recurrence after resec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095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oo Hee-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주희-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