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Predictors of Adolescents' future smoking intention in Korea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이성규 |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10:41Z |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10:41Z | - |
| dc.date.issued | 2007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73 | - |
| dc.description | 국제보건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2004년 이후 우리나라의 중학생 흡연율은 다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기 흡연이 건강뿐 아니라 비행, 약물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도 야기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담배로 인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독으로 인해 금연이 쉽지 않은 성인기보다 청소년기 흡연예방활동의 효과가 더욱 크고 대부분의 성인이 처음 담배를 접하는 시기가 청소년기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흡연예방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 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흡연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교육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지적들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흡연예방교육의 진행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지적하는 모든 학급,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흡연예방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효과의 극대화를 위한 방법으로 ‘청소년 미래흡연의지 예측요인’을 밝혀 미래흡연 고위험 집단을 찾아 내고자 하였다.청소년의 미래흡연의지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찾아내기 위해 ‘청소년 흡연’과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을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하였다. 현재흡연상태, 흡연경험유무, 용돈수준(월), 부모의 흡연상태, 흡연교육참여 여부, 담배브랜드가 새겨진 상품소유 유무, 영화 속, 비디오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 친구의 흡연상태, 친구의 흡연권유에 대한 순응으로 10개의 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2004년에 우리나라13세에서 15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청소년흡연조사’의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선정한 독립변수들과 5년 후 미래흡연의지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현재흡연상태가 미래흡연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아래 연구대상자 중 비흡연자만을 선별하고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간의 개별적 관련성 연구를 통해 가장 큰 상관관계가 컸던 흡연경험유무, 친구의 흡연상태, 친구의 흡연권유에 대한 순응, 부모의 흡연상태 및 담배회사 로고가 새겨진 물건소유 유무를 이용해서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ROC곡선을 이용해 예측요인들의 청소년 미래흡연의지 예측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5년 후 흡연의지에 대한 모형의 예측 정도는 88%였다.예측모형을 이용해 일선학교에서는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기 전 사전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전체 학생 중 미래흡연의 고위험 집단을 선별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집중적인 흡연예방교육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이는 최근 제기되는 학교 내 흡연예방교육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 또한 미래흡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방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흡연율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BackgroundCigarette smoking is a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the world. It has been more important to protect adolescents from smoking rather than to conduct an intervention for adult smokers. To prevent adolescents’ smoking, school-based programs have been widely developed and evaluated. However, studies to see weather the programs were effective or not produced mixed results. We proposed a prediction model of adolescents’future smoking intention to identify a high risk group most probable to smoke in the future. With the model,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targeting high risk youth groups could be implemented.ObjectiveThe study was to develop a prediction model for future smoking intention among adolescents, whose age ranged from 13 to 15 year olds in Korea. W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t high risk of initiating smoking and estimated the prediction model’s explanation level through ROC assessment.MethodsWe used the data from the 2004 Korea Global Youth Tobacco Survey (GYTS) and performed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s’intention for the future smoking. ROC assessment was applied to estimate the explanation level of the Prediction Model.ResultsThe identified five determinants for the intention of the future smoking were having previous experience of smoking, having parents who were smokers, having an object with a cigarette brand logo, having closest friends who were currently smokers and having an intention of smoking from a friends’offer. These determinants were explaining 88% in the prediction model.Conclusion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smoking prevention programs in schools are more effective for adolescents than for adults. In recent years,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s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health promotion field.Based on the results, five determinants were identified to predict the future smoking for Korean adolescents. With the predictors of adolescents’intention for the future smoking, the schools in Korea would be able to identify the high risk group for the future smoking instead of implementing a program for all students.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could be more focused on the high risk group and be more effective.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Predictors of Adolescents' future smoking intention in Korea | - |
| dc.title.alternative | 청소년 미래흡연의지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 - |
| dc.type | Thesis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