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3 1208

Cited 0 times in

전정유발 근전위 검사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가지는 의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원선-
dc.date.accessioned2015-11-21T07:10:00Z-
dc.date.available2015-11-21T07:10:0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46-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전정유발 근전위는 구형낭의 소리 자극에 대한 반응이 하전정 신경 및 외쪽 전정신경핵, 외측 전정척수 경로를 통해 흉쇄유돌근에 전달되어 나타나는 반응을 측정하는 것으로 아직까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의 전정 유발 근전위 양상이 확립되어 있지는 않은 상태이다.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 전정유발 근전위 검사가 비정상 소견을 보일 때 이 환자의 전정 신경계에 어떤 병적인 변화가 왔음을 예측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가설에 초점을 맞추어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에서의 전정유발 근전위 양상을 분석하고 예후와 관련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전정계 질환 및 난청의 소견이 없는 정상 대조군 92명과 양성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으로 진단받은 41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전정유발 근전위를 측정하였다. 정상 대조군에서 연령에 따른 전정유발 근전위 양상을 분석하였을 때 각 연령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비교적 전정계 질환에 민감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환자군 중 11 명은 전정유발 근전위 ‘무반응’을 보였으며 ‘반응’을 보인 30 명의 환자군은 정상대조군의 그것과 비교하여 P13 및 N23 잠복기의 유의한 증가 소견을 보였다. 이들 중 18 명에서는 이석 정복술을 시행하여 증상이 소실된 후 전정유발 근전위를 재측정하여 진단 당시의 그것과 비교하였는데 이석 정복술 시행 전후에서 P13 잠복기, N23 잠복기, 진폭 모두 전정유발 근전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전정유발 근전위의 ‘무반응’군에서는 ‘반응’군에서보다 증상이 소실될 때까지 시행한 이석 정복술 시행 횟수가 현저히 많았다. 이는 발병 당시의 병리학적 변화-신경절의 퇴화 및 세포 소실 등-가 심한 환자군에서 그 예후가 좋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전정유발 근전위는 연령, 전신질환 등의 영향은 적게 받으며 전정계 질환에 비교적 민감한 검사법으로 병의 예후를 예측하는 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겠다. [영문]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VEMP) are the reflex arc that involves the vestibular saccule, inferior vestibular nerve, lateral vestibular nucleus, lateral vestibulospinal tract, and SCM muscle. Few study of VEMP findings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BPPV) has been published to d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EMP results in BPPV and to identify clinical applications of this test in the patient group.The study involved 41 patients with BPPV, and 92 healthy controls. Recording of VEMP was done in both ears of each patient and each control subject. According to the VEMP results, the BPPV group were divided into ‘No response’ group with 11 patients and ‘Response group’ with 30 group. In the ‘Response’ group, the mean values of p13 latency and n23 latency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BPPV patients were treated with canalith repositioning maneuvers (CRM), and the number of CRMs to achieve negative symptoms was recorded to determine the resistance of the disease. After that, VEMP was repeated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13 latency, n23 latency, and amplitude. In the ‘No response’ group, the mean numbers of CRMs performed were considerably larger than those in the ‘Response’ group.Abnormal VEMP results may signify a disease process in either the inferior vestibular nerve or in the saccule innervated by this nerve. We propose that, in chronic and resistant cases of BPPV, degenerative processes might affect the macula of the saccule or inferior vestibular nerve, resulting in abnormal VEMP. Our results suggest that VEMP testing could be a valuable method for evaluating vestibular function in BPPV, and be useful in anticipating the clinical prognosis of patients with BPPV.-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전정유발 근전위 검사가 양성 돌발성 두위변환성 어지러움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가지는 의미-
dc.title.alternativeClinical significance of vestibular evoked myogenic potentials in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30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Won Su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양원선-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